오염발생이 심한 업종에 대하여 산업별 환경회계처리실태를 분석하고 산업별환경회계 처리모형을 제시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로 여겨져 오염발생이 심하고 환경회계처리에 관심이 많은 제지 공업의 환경경영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제조공업의 환경원가 집계와 제조원가보고서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제지공업업계의 환경회계실태를 파악한 후 전통적 원가회계시스템 속에서 환경원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려고 하였다. 상장기업 중 양적인 회계정보를 제조원가 명세서에 제시한 9개 기업을 설문지와 전화 인터뷰,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환경관련 원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폐수처리를 위한 약품비(총 제조원가 중 1∼2%)이며, 이는 대부분 제조간접원가(간접재료원가)로 처리되고 있다. 다음으로 폐기물 처리비(총 제조원가 중 0.5∼0.7%)는 지급수수료로서 제조간접원가로 처리되며, 하수도 사용료와 대기부과금 등은 세금과 공과로 제조간접원가로, 또한 환경시설부문의 보수비를 환경보수비로 분류하여 감가상각비와 함께 제조간접원가로 처리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측정비, 환경소모품비, 청소비 등도 모두 제조간접원가로 집계되고 환경관련 노무비는 구분되지 않고 일반노무비에 포함되어 환경원가회계처리의 미숙한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원가의 집계 방법을 두 가지로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첫번째 모형은 단일의 환경원가를 재료원가, 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와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며, 두번째 모형은 환경재료원가, 환경노무원가, 환경제조간접원가의 복수 환경원가계정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조사업체 응답자들의 대다수가 선호하는 모형이다. 또한 제조원가보고서의 모형도 단일의 환경원가 항목을 두는 방법과 환경재료비, 환경노무비, 환경제조간접비 등, 복수의 환경원가항목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모형을 조사업체 응답자들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요약
Ⅲ. 제지공업의 환경원가 처리실태
Ⅳ. 환경원가의 집계와 제조원가명세서
Ⅵ.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