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078.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성 문암리 유적의 토양분석과 신석기시대 경작지에 대한 소고

The results of soil analyses of the Munamri site and some thoughts on the Neolithic field systems

  • 141

고성 문암리 유적의 하층밭은 최초로 발굴된 신석기시대 건지 경작유구로서 높은 관심과 함께 논란 또한 많았다. 발굴 직후, 이의 기능에 대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 경작유구의 토양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의 상층밭은 전형적으로 발달된 경작토의 모습을 보였으며, 하층밭 또한 상층밭보다는 다소 교란흔적이 약하지만 세립질의 입단이 형성되며 절단면이 관찰되는 등 경작토의 모습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비록 유기물의 함량은 적은편이고 수분보유력도 떨어지지만, 산성도와 염농도면에서 여러 작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한 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토양분석의 결과를 신석기시대 경작지의 논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근 불거진 문암리 유적 논쟁의 핵심인 연대 문제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관해 몇 가지 쟁점을 살펴보았다. 한편, 정체되어 있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경작유구 및 경작법의 연구를 진전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신석기시대 경작 유구가 확인된 중부 유럽과 영국의 신석기시대 농경 모델과 이의 연구에 활용되는 지질고고학적 연구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는 화전, 극젱이와 축력을 이용한 조방농업, 하안 충적지 농경, 원경 및 폐기장 경작 등의 다양한 방식의 농법이 사용되었으며, 후기에 들어서면 고정된 경작지가 나타나는 등, 시간에 따른 기술적 발달이 강화된 모습이 보인다. 이에 비해 선행 연구성과 및 조와 기장이 출토한 유적을 간략히 검토한 결과, 남한의 신석기시대 농경은 중기 이후 기술적 진전을 이루지 못했으며 이는 지력의 소모를 막는, 혹은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시비기술의 부재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보인다. 더불어 단일한 경작방식 외에도 지형에 맞추어 다양한 경작법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원점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결국, 이 같은 추론들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은 문암리 유적의 재조사와 함께, 향후 신석기시대 취락유적 조사 시 다양한 지질고고학적 분석법을 활용하여 선제적으로 농경지점의 확인 혹은 농경활동의 증거를 수집하는 일이다. 경작유구의 연구에서의 성과는 결국 신석기시대 농경의 생산성, 더 나아가 후기에 나타나는 신석기 문화의 쇠퇴와 관련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lower level field of Munamri site at Goseong was the first unearthed Neolithic agricultural site in East Asia, but some controversy related to this site remain. Immediately after excavation,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soil samples from the field system to answer some questions regarding its function.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 upper field of the Joseon Dynasty exhibits typically developed cultivated soil, and the lower level field also appears to have been cultivated but less disturbed than the upper level field. In addition, through bulk sample analyses, it is thought to be suitable for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in terms of acidity and salinity, but with low organic contents and low water retention ability. However, the premise to apply the results of this soil analysis to the discussion of the Neolithic cultivated field is that the core of the recent debate on the Munamri’s date, should be resolved, and some related issu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oad spectrum of Neolithic agricultural practices, the results of geoarchaeological and archaeobotanical research on Neolihic agriculture of Central Europe and Uk are mentioned. It indicates that there were importa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towards Late Neolithic. However, South Korea’s Neolithic farming was not advanced in later period in terms of technology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of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ity based on the sites which yielded carbonized millets and their impressions on the potteries. Without the evidence of fixed and regular field systems, it calls for reviewing neolithic farming research. It is required to preemptively investigate agricultural sites or collect evidence of agricultural activities by using various geological archaeological analyses along with a re-examination of the Munamri site.

Ⅰ. 머리말

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토양분석 결과

Ⅲ. 신석기시대 경작유구의 연구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