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Research on Design Strategy Based on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ory : Focusing on learning efficiency of learning content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5, No. 4(통권 17권)
- 2020.12
- 309 - 323 (15 pages)
포스트 코로나(POST-COVID-19) 시대에서는 대면 수업방식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학습 교류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집에서 독학하는 현상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습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기초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콘텐츠를 전통적인 형식의 학습 콘텐츠와 디자인 전략 형식의 학습 콘텐츠로 구분하였으며, 두 팀의 실험 대상자들에게 서로 다른 2가지 유형의 학습 콘텐츠를 무작위로 나눠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두 팀의 실험 차이를 비교해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전략에 대한 실행 가능성과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재적 인자부하 이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경험 모델, 지식 시각화의 디자인 원칙 및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 등을 결합해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공간 능력을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삼아 그 변수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SPS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디자인 전략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2단계의 실험 논증을 진행하였다. 1단계의 실험은 학생들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읽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디자인 전략이 사용자들의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2단계 실험은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비교해 디자인 전략이 인식과 기억(학습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론: 첫째, 본 연구의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열독 경험을 개선시켰으며, 둘째는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켰다. 셋째는 공간능력이 뛰어난 학생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사용할 때, 그 학습효과가 더욱 컸으며, 실험 분석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에서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학습과정에서 공간적인 훈련을 강화해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며, 본 논문에서는 인지부하 이론과 시각적 디자인을 결합해 학습 콘텐츠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Post-COVID-19, the Face-to-Face teaching mode has changed to Non-Face-to-Face teaching, with less learning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It is increasingly common for students to teach themselves at home. In the case of Self-study , the study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through designing strategies become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learning content into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an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 At the same time, 2 groups of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2 groups of experimental subjects for experiment.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sign strategy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periments. It mainly takes the visual design strategy of Learning Content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external cognitive load theory, this paper develops a visual design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combining user experience model, design principles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specific design methods. In this paper, spatial ability is added as an influence variable of learning efficienc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is study, SPSS20.0 softwar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design strategies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and fill in a questionnaire to test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users reading experience. The second phase of the experiment: compare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experiments to examine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cognition and memory (Learning Efficiency).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improved students reading experience of learning content. Second, designing strategies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Thirdly, students with strong spatial ability have better learning effect when they use Design Strategy-based Learning Content . Through experimental analysis, in the visual design of learning content, the use of design strategies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strengthen the training of sense of space in the daily learning process to assis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iciency. This paper combines cognitive load theory with visual design, providing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content desig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