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0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A Study on the Ritual of Ganghak(講學) in Chosun Seow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 154

이 연구는 조선 서원의 강학 관련 의례를 검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서원은 보통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을 중심으로 크게 의례와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강학의 과정에서도 의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강학 절차는 문자를 매개로 한 지식의 전수 뿐 아니라 다단한 의례들이 긴밀하게 통합된 채로 이루어졌다. 이 의례들은 홀기라는 정형화된 형식을 갖춘 의례부터 비형식적, 관습적 의식에 이르기까지 성격이 다양하다. 최근 학계에서 통용되는 개념을 적용한다면, 강학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형식적, 비형식적 의례들은 제향의례와는 성격이 다르지만, 강학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서원의 교육 이념을 실현하는 과정이자 중요한 매개체였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의례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에 대한 연구는 강학 의례와 관련된 자료를 소개하거나 특정 서원의 의례를 소개한 연구 및 관학의 의례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서원 강학 의례를 종합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된 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강학의 절차에서 시행된 형식적, 비형식적, 관습적 차원을 포함한 다단한 의례들을 ‘강학의례’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범주화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그런데 강학의 절차에서 시행된 형식적, 비형식적, 관습적 차원을 포함한 다단한 의례들을 ‘강학 의례’라는 용어로 지칭하기 전에 한 가지 검토해야 할 문제가 있다. 조선 서원에서 행해진 다양한 유형의 교육활동 중 과연 어디까지를 강학의 범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이는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이 강학 실제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에서 의례가 지닌 의미를 밝히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먼저 ‘서원 講學’의 범주 문제와 ‘강학 의례’의 관계를 검토하고 ‘강학 의례’의 범위와 개념을 규정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를 토대로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을 검토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敬讀, 講會, 通讀, 庭揖禮, 相揖禮, 鄕射禮, 鄕飮酒禮, 開接禮, 罷接禮, 酬唱詩 등 서원의 강학 의례가 강학의 이념과 실제 사이에서 어떤 역할과 매개체로서 작동하였는가를 첫째, 강학 이념과 공부론의 내면화, 둘째, 麗澤觀善의 실현과 조선 성리학의 독자적 학파 계승, 셋째, 敎以禮樂의 실현, 넷째, ‘學校興’의 사명과 호혜적 배움의 실현이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ituals related to Ganghak (講學) in Chosun Seowon and to reveal its educational meaning. Joseon Seowon is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played two functions, ritual and education, centered on ritual space and educational space. However, even in the course of Ganghak(講學), rituals played a very important part. The course of Ganghak(講學) was carried out in a tightly integrated the rituals as well as the transfer of knowledge through letters. These rituals vary in character, ranging from formal rituals to informal and customary rituals. If the concepts commonly used in the academic world are applied, these various rituals performed in the course of Ganghak(講學)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ehyang rites(祭享儀禮), but they are included in rituals in a broad sense in that they were a process and an important medium for realizing Seowon s educational philosophy. However, before referring to these various rituals as the term ganghak ritual(講學儀禮) ,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viewed. It is the question of how far out of th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in Chosun Seowon will be considered as the category of Ganghak(講學).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larifying the meaning of ganghak rituals in the education of Chosun Seowon. In Chapter II, the scope of Seowon Ganghak(講學) was first def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he Ganghak ritual was reviewed. In Chapter Ⅲ,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Ⅱ, the philosophy of Ganghak(講學) in Chosun Seowon was reviewed. In Chapter IV, the role and meaning of various Ganghak(講學) rituals between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Ganghak(講學) was examined from four perspectives.

Ⅰ. 서론

Ⅱ. ‘서원 講學’의 범주 문제와 ‘강학 의례’

Ⅲ.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

Ⅳ.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