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뇌졸중 환자의 인지 및 우울증상 개선에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uctured Handicraft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 540
155081.jpg

목적: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작업치료가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환자를 모집하여 12주간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 우울증상의 평가는 한국판 우울증선별도구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를 실시하였고, 인지기능의 평가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와 일상생활활동독립성의 평가로 한국형 수정바델지수 (Korean ver Modified Bathel Index; K-MBI)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구조화된 수공예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우울증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감소되었고(p<0.05),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성도 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인지기능은 중재 후에점수가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는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이 우울증상 감소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목적: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작업치료가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환자를 모집하여 12주간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 우울증상의 평가는 한국판 우울증선별도구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를 실시하였고, 인지기능의 평가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와 일상생활활동독립성의 평가로 한국형 수정바델지수 (Korean ver Modified Bathel Index; K-MBI)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구조화된 수공예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우울증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감소되었고(p<0.05),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성도 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인지기능은 중재 후에점수가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는 우울증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구조화된 수공예 프로그램이 우울증상 감소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