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자녀의 감각처리 기능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s Sensory Processing Function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제12권 제2호
- : KCI등재
- 2020.12
- 31 - 40 (10 pages)
목적: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감각처리기능을 기술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녀의 감각처리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에 거주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어머니와 자녀 20명을 대상으로 Person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감각처리기능의 하위영역인 청각처리 기능과 촉각처리 기능이상성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 p<.01). 또한, 감각조절기능과 행동 및 정서 반응과는 상관관계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중재 방향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감각처리기능을 기술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녀의 감각처리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에 거주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어머니와 자녀 20명을 대상으로 Person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감각처리기능의 하위영역인 청각처리 기능과 촉각처리 기능이상성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 p<.01). 또한, 감각조절기능과 행동 및 정서 반응과는 상관관계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중재 방향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