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Marital Trust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2호
-
2021.011439 - 1459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2.1439
- 1,468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행동 및 부부간 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혼자 33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부적응척도 중 일치도 척도, 의사소통 행동 질문지, 부부간 신뢰 척도, 한국형 결혼만족도 검사 중 전반적 불만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부갈등은 결혼만족도, 신뢰, 및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였고, 부정적 의사소통 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정적 의사소통행동은 유사조절변인으로서 부부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강화하였다. 셋째,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과 부부간 신뢰도 각각 유사조절변인으로서 부부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켰다. 본 결과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marital trust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330 married person were sampled from Seoul, Gyeonggido, and several internet communities to assess the Consensus Scale of Dyadic Adjustment Scale, Communication Behavior Scale, Trust Scale, and Global Dissatisfaction Scale of K-MSI. The results revealed that (a)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trust,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negative communication behavior; (b) communication behavior quasi-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c) marital trust quasi-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