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선천성결막화각막에 대한 문신술 1예

A Case of Tattooing for Congenitally Conjunctivalized Cornea

  • 8
155180.jpg

목적: 각막문신술은 각막혼탁으로 인한 미용적 장애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술법이다. 본 증례에서는 선천성 결막화각막으로 인하여 각막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았던 안구에서 각막모양으로 문신술을 시행하여 미용적 호전을 얻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결과: 48세 남자 환자가 출생 시부터 있었던 좌안의 각막 혼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나안시력은 우안 1.5, 좌안 광각무였으며, 좌안 각막의 하부 삼분의 일은 경도의 혼탁 및 표면의 칼슘 침착이 동반되어 있었고 상부 삼분의 이가 각막조직이 아닌 변성된 조직으로써 결막으로 덮여 있었다. 이에 하부의 각막 및 상부의 결막화각막에 대하여 26 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여 검정색 생체염료로 문신술을 시행하였다. 좌안 눈동자의 모양과 크기는 우안 눈동자의 크기를 근거로 결정하여 염료의 주사 전에 경계를 만들었다. 2년 후 각막 및 결막화 각막의 착색 상태는 양호하였고 환자는 겉으로 보기에 좌안각막 혼탁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호전되어 미용적 결과에 매우 만족하였다. 결론: 문신술은 미용적 목적을 위하여 각막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결막화 각막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Corneal tattooing i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cosmesis in eyes with corneal scar.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congenitally conjunctivalized corneal tattooing.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 Results: 48-years-old man was presented at ophthalmology clinic with a chief complaint of congenitally opaque cornea in the left eye. He was wearing iris contact lens for cosmesis, but he felt it uncomfortable because of frequent inflammation and foreign body sensation. His visual acuity was 30/20 in the right eye and no light perception in the left eye. Lower one third of cornea was relatively clear but overlaid with a little amount of calcium plaque. Upper two third of cornea was degenerative and conjunctivalized. Tattooing at lower corneal stroma and upper conjunctivalized cornea was performed with black tissue-marking and 26-gauge needle. The shape and size of cornea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ose of his fellow eye and the margin was demarcated before injection of the dye. After two years, tattooing of corneal stroma and conjunctivalized cornea is maintained well. Grossly his cornea was dark and symmetric and the patient was very satisfied with cosmetic result. Conclusions: Tattooing can be a good surgical option for congenitally conjunctivalized cornea as well as corneal stromal opacity for cosmesis.

증 례

고 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