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제약산업의 연구개발비 비용처리와 자산처리의 결정요인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 23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소유구조 및 경영자의 유인, 회계처리의 감사 장치가 제약산업에서의 연구개발비 지출의 비용처리와 자산처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제약산업의 연구개발비 비용처리와 자산처리에 따른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부터 2016년까지 제약산업에 속한 1,051 기업-연도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주주와 외국인투자자의 지분이 높은 기업에서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주주로서 경영자의 이해관계가 주주와 일치되고, 외국인투자자의 감시로 연구개발비에 대한 보다 엄격한 회계처리가 이뤄져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가 증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경영자가 차기에 행사 가능한 스톡옵션을 보유하고 있거나 유상증자를 앞두고 있는 경우, 당기 적자 회피를 위한 이익조정의 유인이 있는 기업의 경우에 연구개발비의 자산화처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보상 증가 및 유상증자 시 주가 상승, 적자 회피를 위한 이익 상향조정의 수단으로 연구개발비 지출의 자산화가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규모 회계법인을 감사인으로 지정한 기업일수록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이 독립성과 전문성이 있는 감사인으로 부터 감사를 받는 경우 보다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요구받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연구개발비 지출의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하는 기업의 회계정보가 가치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투자자가 연구개발비 지출금액이 큰 제약산업에 대해서는 연구개발비의 보수적 회계처리를 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약산업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 연구개발비의 회계처리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판단되는 이 시점에 연구개발비의 회계처리 결정요인 및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설정

III. 연구모형 및 연구표본

IV.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