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감사 직무실적 평가 수준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회계정보학회
-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2017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 2017.11
- 611 - 643 (33 pages)
공공기관은 정부로부터 각종 재정적인 지원과 독점적인 사업 보장 등의 혜택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공공 편의 제공을 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과도한 인건비 및 성과금 지급, 인사채용 비리, 목적에 맞지 않는 예산사용 등 방만경영과 부정부패와 관련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OECD에서 는 공공기관의 이러한 문제점을 내/외부 지배구조를 이용해 해결 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내부 지배구조 요소 중 하나인 내부감사의 품질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내부감사의 품질로 ‘공공기관 감사 직무실적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내부감사의 전문성·독립성, 내부통제 노력, 방만경영 예방 노력 등 3가지를 측정하였고, 경영성과로는 공공기관의 설립목적인 ‘기업성’과 ‘공공성’을 대표할 수 있는 ‘공공기관경영평가’의 재무적(재무예산성과, 계량관리업무비), 비재무적 성과 지표(정부권 장정책, 국민평가)를 이용하여, 2011~2015년까지 공공기관 감사 직무실적 평가를 받은 171개 기관을 대상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내부감사의 독립성·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재무적성과 지표인 재무예산성과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재무적성과 지표인 정부권장 정책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 외 나머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에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내부감사가 독립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공공기관 예산사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함으로써 예산집행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그에 따라 재무적성과 향상되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반면, 내부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과 비재무적성과 지표인 정부권장정책간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난 것은 비재무적성과의 경우 재무적성과에 비해 연중 모니터링이 제한되고 이러한 모니터링에 대한 제한점으로 인해 조직원들은 비재무적성과 보다는 재무적성과에 업무역량을 집중함으로써 비재무적성과가 부정적인 영향을 준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독립변수인 내부통제 노력과 방만경영 방지 노력 지표와 공공기관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해당 지표가 내부감사의 노력이나 활동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세부적인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평가지표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제 3 장 가설 설정 및 연구의 설계
제 4 장 실증분석 결과
제 5 장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