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적자로 상장폐지 리스크경고 조치를 받은 중국기업의 이익조정
- 한국회계정보학회
-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2017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 2017.11
- 495 - 521 (27 pages)
[연구목적] 중국경제의 눈부신 성장과 함께 중국 증권시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증권시장은 특별처리(리스크경고) 제도와 같은 독특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상장폐지 리스크경고(*ST) 조치 사유 중 하나로 연속적자를 포함하고 있다. 연속적자로 인해 특별처리(상장폐지 리스크경고) 조치를 받은 기업들은 조치 이전에 2년 연속 손실을 보고한 기업으로서 경조 조치 전후에 걸쳐 다양한 이익조정을 구사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규제방식이 기업의 이익조정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발생조정과 실물조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자로 인해 상장폐지 리스크경고(*ST) 조치를 받은 기업들이 각 시점(적자보고 이전, 적자보고, 적자보고 이후)별로 어떠한 이익조정을 구사하는지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자보고 이전(t-3기) 시기에는 *ST 기업들이 발생조정 뿐만 아니라 실물조정을 통해 이익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자보고(t-2기, t-1기) 시기에는 *ST 기업들이 발생조정을 통해서는 이익을 낮추고 실물조정을 통해서는 이익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자보고 이후(t기) 시기에는 *ST 기업들이 발생조정을 통해서는 이익을 높이고 실물조정을 통해서는 이익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 증권시장의 독특한 규제제도가 중국 상장기업들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투자자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동 규제가 지닌 주의환기(경보)라는 순기능과 이익조정유인이라는 역기능을 동시에 평가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동 규제가 중국 증권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현실적 타당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판단근거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Ⅰ. 서 론
Ⅱ. 중국 증권시장 및 상장폐지 관련 제도
Ⅲ.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