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제무제표제약과 이익조정

  • 13

재무상태표에 누적되어 있는 발생액은 과거 이익조정의 누적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 높은 수준의 이익조정 시도는 당기의 추가적 이익조정 수단 선택에 제약을 주고, 발생액 중 이익조정부분의 반전은 당기 이익조정 수준을 낮추게 될 것이므로, 재무상태표의 과대평가 상태는 차기 이익조정에 대한 억제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제안을 한 선행연구들이 주로 이익조정 억제의 2차적 효과를 검증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익조정에 대한 직접적 영향을 살핀 연구이다. 연구 결과, 기초 NOA로 측정한 재무상태표 과대평가 정도는 차기 발생액이익조정과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고, 이는 재량적 발생액의 반전을 고려하고서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NOA는 차기 실제이익조정에 대해서는 양(+)의 관계를 보여주어, 선행연구들과 일관된 결과를 얻었다. 실증결과는 경영자는 과거 이익조정을 많이 할수록 차기 이익조정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실제이익조정 선택의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고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우려를 검증하였는데, 첫째, 본 연구는 NOA를 매출액으로 표준화 하는 방법 외에 총자산으로 표준화 했을 때에도 결과는 비슷하다는 것으로부터 표준화 방법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둘째, NOA에서 정상 NOA를 가려내야 한다는 논의에 대해서는, NOA의 총 수준을 이용하거나 비정상 NOA를 이용하는 것 사이에 결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I. 서 론

II. 선행연구

III. 가설 및 연구모델

IV. 실증분석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