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발적 공시환경과 경영자의 공시전략

Voluntary Disclosure Environment and Managements Disclosure Strategy

  • 29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는 자발적 공시제도로 공시여부, 공시내용, 공시시기의 선택에 있어 경영자가 재량(discretion)을 행사할 여지가 커서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경제적 유인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경영자가 예측공시의 정보량을 전략적으로 배분할 것이라는 선행연구와 개인들이 주관적 가치를 최대로 하기 위해 정보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처리할 것이라는 쾌락적 편집모형(Hedonic Editing Model;Thaler and Johnson, 1990)을 연결하여 이익예측정보를 공시하는 양태가 정보내용(호재/악재와 긍정적/부정적 정정공시)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2년부터 2007년에 걸쳐 경영자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공시 정보량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는, 혼합이득(MG : Mixed Gains)상황인 기업의 경우 영업이익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나 선행 공시와 수정 공시의 정보량 분포가 비대칭적일 것(cancellation)이라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혼합손실(ML : Mixed Losses) 상황인 기업의 경우도 영업이익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나 선행 공시와 수정 공시의 정보량 분포가 비대칭적일 것이라는 가설과 방향이 일치한다. 매출액의 경우도 유의하지는 않으나 음의 부호를 나타낸다. 이는 실적의 증가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보수주의 전략(conservatism strategy)을, 실적전망이 나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공세적 전략(aggressive strategy)을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득상황에서는 위험회피(risk aversion)성향을 손실상황에서는 위험선호(risk preference)성향이 나타난다는 프로스펙트 이론의 원칙과 부합되는 현상이다. 한편, 순이득(PG : Pure Gains)상황인 기업의 경우 영업이익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나 선행 공시의 정보량(EN1)변수의 계수가 양(+)의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매출액은 음의 부호를 나타내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순손실(PL : Pure Losses)상황인 기업의 경우 영업이익은 음의 관계가 나타나 선행 공시와 수정 공시 중에서 한 쪽으로 치우쳐 정보량이 분포할 것이라는 예측과 일치하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고, 매출액은 양의 부호를 보이나 유의하지 않다. 재무·회계분야의 경영자 예측정보 공시에 관한 선행연구는 예측정보의 성격에 따른 공시정보의 비대칭적 분포나 공시시점에 나타나는 비대칭적 시장반응을 보고하고 있으나 그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재무·회계정보를 이용한 의사결정과정 그 자체의 기제를 밝히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쾌락적 편집모형을 이용하여 경영자와 투자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검증함으로써 인지심리학이론을 가치평가(evaluation) 맥락으로 확대하고 학제 간 연구를 통한 종합적 접근이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managers preferences for separating or combining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 hedonic editing model, being a hybrid of cognitive psychology and microeconomics, proposes the mental coding of combinations of gains and losses using the prospect theory value function. Thaler(1985) analyzed four cases applying this model : pure gains, pure losses, mixed gains, and mixed losses. We extend prior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descriptive validity of the hedonic editing model to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contexts. Our evidence suggests that corporate managers disclosure earnings forecasts within the context of this framework.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s managers combine (separate) good/positive (bad/negative) earnings news. This disclosure framework is effective(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magnitudes of earnings news. Our study bridges a gap between results documented in financial accounting experimental studies and studies that use archival data within natural settings(Koonce and Mercer, 2005).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 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