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구개발 지출 및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에 대해 감사인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개발 지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자들은 연구개발 지출 규모 및 자본화 여부의 재량적인 선택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개발 지출이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면, 감사인들은 이를 감사위험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평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개발 지출에 따라 사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보수와 사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시간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간에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본화된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 금액이 높을수록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높을수록 감사보수는 높으나, 감사시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금액의 증감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여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사보수는 상승하나, 감사시간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s on auditor s estimation of R&D investment and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Prior studies on R&D investment suggest that CEO tries to manage earnings discretionarily using adjustment of R&D investment or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Therefore, auditors are likely to regard R&D investment as a determinant of audit risk. If R&D investment is associated with audit risk, R&D investment would have an influence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empirical results ae as follows. First,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hether there is R&D investment or not in listed companies. Seco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much when there is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on listed company. Third,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ourth, the asset treatment ratio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R&D investment and audit fees, audit hours. Sixth, the difference of asset treatment ratio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but i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udit hour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가설설정 및 연구모형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