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과 거시경제변수 간의 동태적 관계연구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and macroeconomic variables : Focusing on Seoul
- 한국부동산학회
- 부동산학보
- 不動産學報 第82輯
-
2020.0845 - 58 (14 pages)
-
DOI : 10.31303/KREAR.2020.81.21
- 247
본 논문은 2006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과 아파트거래량의 상관관계와 설명변수인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을 EVIEWS 8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분석에 활용된 거시경제변수는 건설수주액, 취업자수, 주택담보대출금리, 코스피지수이며 이들 대부분은 서울시 아파트 가격과 아파트거래량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다만 코스피지수는 그랜져인과검정 결과 전혀 관련성이 없었으며 특히 공급의 대리변수인 건설수주액은 서울시 아파트매매시장과는 강력한 쌍방향 인과하며 아파트거래량은 건설수주액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아파트 거래가격과 아파트거래량에 쌍방향 인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은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서울시 아파트거래가격은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에 강력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서울시 아파트거래량감소를 위한 수요억제 정책은 새로운 측면으로 재고하여야 하며 서울시 아파트 가격상승 요인을 새로운 척도로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CONTENTS (1)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artment sales market in Seoul and the trading volume and how much the macroeconomic variables influenced it, and proved it with the purpose of helping participants to decide on the apartment sales market and transaction volume in Seoul. (2)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oul apartment sales market and the trading volume and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VECM model. (3) RESEARCH FINDINGS In this paper, the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affecting each region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Grandeur causality test. VCOR and MR were analyze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with SAPN. 2. RESULTS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at the Seoulsi apart trading market is receiving a long-term positive response due to the impact of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and supply variable construction orders, and that the rate of employment and mortgage loans is negative.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실증분석과 연구분석 결과
Ⅳ.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