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용차 소재 개발을 위한 열매류의 항산화,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및 유효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ctive Compound Content of Fruits for Developing Substitute Tea Materials

  • 101
155162.jpg

마키베리, 라즈베리, 크랜베리, 블루베리, 비타민나무 열매, 링곤베리, 아로니아, 딸기 8종의 열매류의 메탄올,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그리고 유효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열매류의 용매별로 차이는 있지만, 비타민나무 열매, 마키베리 그리고 아로니아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oxynitrite 소거 활성에서도 비타민나무 열매, 마키베리, 그리고 아로니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에서는 비타민나무 열매 > 크랜베리 > 마키베리 순으로 활성을 보였으며, 비타민나무 열매 EtOH 추출물이 87.46 ± 40.63 μg/mL 로 월등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효성분 함량 측정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비타민나무 열매가 모든추출에서 100 mg/g 이상으로 다른 열매류에 비해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비타민나무 열매와 마키베리가 0.43~0.78 mg/g으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activity,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were measured using methanol,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eight fruits: maqui berry, raspberry, cranberry, blueberry, sea buckthorn fruit, lingonberry, chokeberry, and strawberry. Althoug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s based on the solvents in the fruit, it was confirmed that sea buckthorn fruit, maqui berry, and chokeberry have excell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high activity in the following order: sea buckthorn fruit > maqui berry > chokeberry. I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the order is sea buckthorn fruit > cranberry > maqui berry, and the EtOH extract of sea buckthorn fruit showed remarkably high activity at 87.46 ± 40.63 μg/mL. The phenolic compound total in sea buckthorn fruit was more than 100 mg/g in all extracts (MeOH, EtOH, and H2O), compared to the other fruits, and sea buckthorn fruit and maqui berry both had 0.43-0.78 mg/g of total flavonoids conten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