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152.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중 시각어의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양상의 특성

The Meaning of Original Form of Korean-Chinese Visual Language and its Expansion Aspect and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the Responsive Expression of the Chinese Language for Korean Visual Language

DOI : 10.14378/KACS.2020.73.73.15
  • 81

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자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original form, , and its meaning extension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lauguage, one of the Korean-Chinese sense languages. Among them,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main visual verbs and visual adjectives targeting the native Korean words in Korean visual language, as well as the visual verbs and visual adjectives in Chines corresponding to this,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m. As for the main visual verb in Korean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o see’, and ‘bright, dark, white, black, red, blue, yellow’ for the visual adjective, and examine, compare and analyze ‘看’ for visual verb of Chinese for this, and 亮, 暗, 白, 黑, 红, 蓝, 黄 the Chinese visual adjective.

1. 들어가며

2. 한·중 시각 동사의 의미 비교

3.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 비교

4. 한·중 시각어의 의미 확장 비교

5.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