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이 종업원의 작업 열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정서적및 인지적 신뢰를 통한 진성 리더십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작업 열의에 대한 진성 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을 밝혔다. 리더가 자신의 실수를 솔직히 인정하고 자신이 느끼는 바를 구성원들에게 진솔하게 표현하는 행동이리더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를 높이며, 또 리더가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일관되게행동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관련 자료를 충분히 조사하고 다른 의견에 귀를기울이는 등의 행동 역시 구성원으로 하여금 리더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높아진 신뢰는 결과적으로 구성원의 작업 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이 진성 리더십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구성원의 작업 열의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진성 리더십의 장점을 얻기 위해서조직은 리더가 진정성을 개발하고 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또한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과 구성원의 작업 열의 사이의 관계에서 정서적 신뢰와 인지적 신뢰의 매개 역할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리더가 작업장에서 구성원의 행동에영향을 미치기 위해 활용하는 접근 방식을 합리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구성원의 작업 열의를 높이려는 리더는 신뢰를 높이기 위해 진성 리더십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direct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employees and the indirect influence through affective based trust and cognitive based trust.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t role of authentic leadership in the work engagement of employees. The behavior of the leader to admit his/her mistakes honestly and to express his/her feelings to the followers sincerely increases the trust in leader. In addition, leaders act consistently with their beliefs and values and act of investigating relevant data and listening to other opinions in making decisions also allows followers to trust their lea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 needs to improve the work engagement of its members by paying specific attention to authentic leadership. To get the benefits of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s need to integrate the process by which leaders develop authenticity and evaluate i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based trust and cognitive based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aders should reasonably consider the approach that they utilize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followers in the workplace, 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leaders who want to increase followers work engagement can use authentic leadership to increase trust.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측정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