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2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평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

A Study on Percep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ie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OI : 10.18 230/tjye.2021.29.1.119
  • 654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성평등교육 정책에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정책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중등학교급 교사(교과, 보건), 서울시교육청 전현직 업무 담당자, 사회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평등교육 정책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인식은 1) 우연한 시작, 선도학교: 그러나 평등과 존중의 성문화를 위한 인연, 2) 아주 평범하고 사소한 양성평등교육주간: 그러나 존재만으로 강력한 장치, 3) 겹겹의 벽에 막힌 교원학습공동체: 그러나 울림있는 경험의 장, 4) 갈팡질팡, 주춤하는 성평등 연수: 그러나 교육 주체 성장의 열쇠, 5) 표준에 갇힌 성평등교육 콘텐츠: 그러나 교육실천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6) 방향 없이 표류하는 스쿨미투: 그러나 학교의 의지와 역량에 달려있는 블랙박스로 분석되었다. 성평등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으로는 1) 성평등교육 정책 지원의 명시화, 2) 업무 담당자 간의 유기적 업무체계 구축, 3) 성평등교육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 4) 성평등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지원, 5) 성평등교육 담당 기관의 책임과 권한 명확화가 제안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of interested parties related to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diagnose current polici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To that end, a group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ubject, health), former and incumbent officia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activists from social organizations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study, various criticisms and expecta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were analyzed into: 1) leading schools that started in a weird way: for a gender culture of equality and respect, 2) very ordinary and min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eek: but a powerful device only for existence, and 3)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blocked by layers of walls: but a resonant field of experience, 4) crumbling and faltering gender equality training: the key to the growth of educational subjects, 5) content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trapped in standards: but,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implementing education, 6) “school me too” floating without direction: but, a black box depending on the school s will and compet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ggestions include: 1) clarifying support for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2) establishing an organic work system among task personnel, 3) reducing the work of teachers in charg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4) supporting the professional improveme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ersonnel, and 5) clearing the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Ⅰ. 서 론

Ⅱ. 서울시교육청의 성평등교육 정책 개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