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문제는 개인이나 지역사회의 행동과 실천이 중요하며 최소단위 자치단체의 적응 계획수립이 국가단위의 체계적인 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선결조건이 될 것임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또한 지역차원의 기후변화 영향파악 및 대응방안 강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적응시스템 마련의 필요성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부문별 인식도 조사결과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강원도 남부에 위치한 영월군이며, 기후변화 적응 9개 부문에 걸쳐 시급성 및 중요성에 대해 일반인(366명)과 공무원(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점수척도를 활용해서 부문별 시급성과 중요성을 계산하여 부문별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분석결과 재해 및 물관리 부문의 시급성과 중요성 모두에서 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시급성 보다는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급함에 쫓겨 근시안적 정책을 펼치기 보다는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펼쳐야 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IPCC에서 정의하는 취약성 개념으로 기후노출, 민감도 및 적응능력을 고려할 수 있는 CCGIS를 활용하여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물관리와 재해 부문의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issue of adapting to climate change, the actions and the practices by individuals or local communities are important, and it is an obvious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adaptive plan by the smallest local government will become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level systematic adaptive plan. Additionally, the current circumstance is that the need for establishing an adaptive system is continuously increasing for efficiently adapting to climatie change through the local level understanding on climatie change effects and the establishment of response plan.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on the understanding level per climatie change area by county governments and the climatie change vulnerability evaluation resul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earch site is Yeongwol-gun,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and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general civilians (366)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78) on the urgency and importance in 9 field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s for the survey research result,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areas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urgency and importance per area by utilizing point scal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 was high for both urgency and importance in the area of water management and disaster. Overall, it was revealed that importance was high than urgency. This can be said as the implication on the need to implement a long-term plan climatie change adaptive policy rather than implement shortsighted policy under the pressure of urgency. The vulner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using CCGIS through which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level & adaptive ability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 vulnerability concept defined by the IPCC, and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vulnerability in the area of water management and disaster was relatively high.
1. 서 론
2. 선행연구
3. 기후변화 대응과 자연재해
4. 연구대상지역
5. 인식도 조사
6. 기후변화 적응 취약성 평가
8. 결 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