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126.jpg
KCI등재 학술저널

GIS를 이용한 서울 시범 지역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정밀구역화

Microzonation on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at a Model Area in Seoul Using GIS

  • 4

컴퓨터 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최근에는 많은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이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 내의 한 시범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 지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부지 효과에 관련된 지진 피해 가능성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범 지역에서의 지역적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평가를 위하여 서울 대도시 지역에 대한 기존 시추 조사 자료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GIS 토대의 지반 정보 시스템(GTIS)을 구축하여 시범 지역 전체에 대한 공간 지층 정보를 예측하였다. 서울 시범 지역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 예측을 위한 부지 주기(TG)의 정밀구역화를 GTIS 내에서 수행하였다. 공간 분포 정밀구역화 지도로부터 시범 지역 내 2 층에서 4 층 건물들의 지진 취약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GTIS 내에서 TG 분포를 토대로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그로부터 대상 시범 지역 부지의 거의 대부분이 현행 지반 분류 C 와 D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서울 시범 지역에 대한 지진 정밀구역화 적용 구조 체계는 특별히 기존 시추 자료를 활용하여 대도시 서울 지역 전체에 대해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computer technology has been rapidly advanc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recently used in many disciplines. In this study, for a model area in Seoul, seismic hazard potential relating to site effect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subsurface geotechnical conditions, was estimated using the GIS tool. The distribution of pre-existing borehole drilling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was examined for the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at the model area. Spatial geo-layers across the entire model area were predicted by constructing a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GTIS). A microzonation of site period (TG) for estimating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at the model area was performed within the GTIS. The spatial microzoning map of TG indicated seismic vulnerability of two- to four-storied buildings in the model area. Furthermore, a site classification map for determining the design ground mo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G within the GTIS. This informed that most of location in the model area was categorized into current site classes C and D. This seismic microzonation framework for the model area could be applicable particularly in the entir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pre-existing borehole data.

1. 서 론

2. GIS 토대의 공간 지반 정보 시스템

3.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 대상 지역 선정

4. 서울 시범 지역에 대한 공간 지반 정보시스템 구축

5. 서울 시범 지역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에 대한 정밀구역화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