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2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진-한탄강 유역 출토 다각면원구의 시공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ce-time of the Polyhedral in Imjin-Hantan River Basin : Base on the Jeongok-ri and Yongjeong-ri Paleolithic site

DOI : 10.52954/kps.2020.1.42.67
  • 255

본 연구는 유물의 정의 또는 고유한 특성에 기인하여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다각면원구의 외형적 특징을 기반으로 측정 및 통계 지수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계 내에서의 시공간 비교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해당 유역이 내포한 구석기 석기 공작의 전통을 정립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수계상 임진-한탄강 유역으로 한정하고 연구의 실질적 가능 범위인 한반도 중서부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해당 수계 내에서 다각면원구가 출토된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세부적으로 연천 전곡리와 포천 용정리의 다각면원구 59점이 이에 해당한다. 다각면원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공간적 비교 연구 결과, 일정한 패턴이 인지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각 유적의 형성 과정과 절대 연대, 층위에 기반한 시간 비교 연구 결과 구석기시대의 전기에서 후기로 이동하면서 다각면원구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는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석기의 보편적 정의인 구형을 이루는 정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본류역과 지류역으로의 공간 구분을 통해서 진행한 대하천과 지천 간의 비교 연구에서는 본류의 다각면원구가 지류의 다각면원구에 비해 크고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석기의 구형 정도는 본류가 지류보다 외형적으로 구형에 더 근접한 형태를 띠는 경향이 드러났다. 임진-한탄강 유역의 전통적인 석기 공작은 하안의 자갈돌을 원석으로 하여 직접타격을 통해 제작한 전기 구석기시대의 문화가 석인 석기로 대체되는 후기의 양상이 유행하기 이전까지 보완·유지되는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석기 제작의 기술문화적 특성이 본 연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구가 가진 본래의 특성인 적정한 수준의 구형 유지 과정을 살펴야 한다. 인류의 진화적 관점에서 제작의 효율성과 완성된 석기의 사용에 대한 효용성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asurement and statistical index based on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polyhedral excavated from the paleolithic industries of the Imjin-Hantan river basin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relics. Based on this, I tried to establish the tradition of paleolithic industry on the Imjin-Hantan river basin, which represents the paleolithic of the Korean peninsula, by comparing time and space in the water system. The spatial scope of study is Imjin-Hantan river basin,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realistically research is possible.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the polyhedral found in the paleolithic industries of the Imjin-Hantan river basin. The analysis is 59 polyhedrals excavated from Jeongok-ri and Yongjeong-ri. First, the time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rmation process each site, absolute dating, and soil layer level, and as a result, the size and weight of the polyhedral decreased as the paleolithic period moved from the early to the late perio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phericity is gradually lowering. Als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showed that the mainstream polyhedral was larger and heavier than the tributaries polyhedral. And the tendency of the mainstream to appear more spherical than the tributary was revealed. The traditional paleolithic industry of the Imjin-Hantan river basin, which directly strikes pebble stones, continued to be complemented until the upper paleolithic industry replaced by blade became popula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echn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tools technology were consistent with this study. Also, in order to understand m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making polyhedral from the evolutionary point of view of mankind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polyhedral.

Ⅰ. 머리말

Ⅱ. 대상 유적 검토

Ⅲ. 다각면원구 분석

Ⅳ. 시간 비교 연구

Ⅴ. 공간 비교 연구

Ⅵ.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