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02.jpg
KCI등재 학술저널

팬데믹과 인류세 자연

사회적 거리두기와 ‘인간 너머’의 생명정치

  • 211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인류세적 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는 치명적 감염병의 전세계적 확산이라는 ‘파국’적 상황과 함께,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인간의 활동이 현저하게 줄어듦으로써 만들어진 ‘인간 없는 세상’의 단초를 보여준다는점에서 매우 인류세적인 현상이다. 코로나19 논의가 방역, 인권, 경제 등 인간 사회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비인간 세계, 즉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미친 변화에주목한다. 특히 상품화를 중심으로 한 인간-자연 관계가 코로나19를 계기로 겪는 균열과재조정의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관광경관, 동물원, 농수축산물을 중심으로 다양한사례들을 병렬적으로 다룸으로써 코로나19에 따라 인간-자연 관계가 전개되는 다양한 모습들을 포착하고 탐색한다. 이론적으로는 최근의 생명정치 논의와 비인간 행위자 및 정동적 관계에 주목하는 ‘인간 너머’ 경향의 정치생태학 논의를 결합함으로써 인간-자연 관계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시도한다. 이 논문은 코로나19에 따른 인간-자연 관계의 변화가 인간의 활동 감소에 따른 자연의 ‘회복’과,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강화된 자연 ‘통제’라는이분법적 구도가 아니라, 자연의 물질성과 인간 기획의 상호 작용을 통해 보다 다면적인차원에서 복잡하고 미묘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코로나19가 자연이 생육하고 번성할 계기를 제공했지만, 감염병 위기라는 응급상황이 방역과 경제를 목적으로 한 인간의 자연 개입을 강화하고 정당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코로나19를 통해 이 연구는 인류세 위기 속에서 인간-자연 관계가 변화하는 한 양상을 보여주고, 이를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has raised an increased attention to the Anthropocene. The outbreak and spread of the COVID-19 is a very Anthropocenic event in the sense that it has brought a planetary catastrophe of pandemic, while offering a preliminary snapshot of “the world without us” caused by widespread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le existing work on the COVID-19 has focussed on its health and economic aspects,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nonhuman world affected by the COVID-19. Drawing on recent ‘more-than-human’ studies of political ecology and biopolitics, this paper examines several ways through which human-nature relations have been reconfigured in South Korea amid the COVID-19 and related social distancing. It specifically focuses on nature- based tourism landscape, zoos, and farming. The cases illustrate that human- nature relations have emerged in diverse and sophisticated ways beyond the prevalent dichotomies of the reinforced human control over nature, or the return of nature. While significant decrease of human activities allowed proliferation of nonhumans (e.g. blossom of flowers, birth of zoo animals), biopolitical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soon followed to secure public health and capitalist economy. This paper argues COVID-19 engenders an anthropocentric mode of biopolitics that allows increased manipulation of nonhuman lives in the guise of public good.

1. 들어가며

2. ‘인간 너머’의 자연: 생명정치, 정치생태학, 국가-자연 논의를 중심으로

3. 코로나19에 따른 ‘인간-자연’ 관계성의 균열과 재조정

4. ‘인간 너머’의 생명정치의 인간중심적 회귀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