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습지에서 경험하는 간호대학생의 성희롱이 자아존중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on Self-esteem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12
-
2020.1297 - 111 (15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0.16.12.97
- 14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 실습지에서 경험하는 성희롱이 자아존중감과 업무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간호학과 3.4학년3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상 실습지에서 간호대학생들의 72.73%가 주로 환자(74.9%)로부터 성희롱피해를 경험하고 피해 장소로 일반병실(64.9%) 병실이 가장 많았으며, 성희롱피해를 경험했을 때 병실간호사나 수간호사에게 도움을 청했으며 병원차원에서 해결해주기를 원했다. 성희롱 행위와 자아존중감, 임상 수행 능력간에는 역상관관계가 임상 수행 능력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정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임상실습시 간호대학생들이 성희롱 피해로부터 예방, 보호, 대책을 마련하여 안전한 실습환경을 조성해야할 필요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xual harassment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on their self-esteem and clinical competenc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nursing students in grade 3 and 4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G province of South Korea,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72.7%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mostly from patients (74.9%) at general ward (64.9%). It is also found that, when experiencing harassment, they sought help from a nurse or head nurse and wanted the hospital to get involved to resolve the issu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ir experience with sexual harassment and their self-esteem and clinical competence. This study has contribution o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reate a saf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hrough prevention and protection measures against sexual harassment during clinical practi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