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32.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a Maladaptive Coping Style

  • 149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대처양식의 남녀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산, 경남 지역의 자녀가 있는 남녀 맞벌이 직장인 324명(남자 150명, 여자 174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갈등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족-일 갈등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대처양식에도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적응적 대처양식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직장인의 경우 가족-일 갈등은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 직장인의 경우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가족 갈등이 소진으로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고, 부적응적 대처가 소진으로 미치는 영향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직장인들의 부적응적 대처양식이 소진에 미치는 역할에서 남녀차이를 밝힘으로써,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을 겪는 남녀 직장인들의 소진을 낮추기 위한 성별에 맞춘 상담적 개입 방법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of a maladaptive coping styple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emotional exhaustion. For this purpose, 324 male and female double-income workers (150 males and 174 females) with children in Busan and Gyeongnam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ork-family confli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maladaptive coping style. Secondly, family-work conflict not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bu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ladaptive coping style. Maladaptive coping styl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y which family-work conflict affects exhaustion. Thirdly, in the case of male workers, family-work conflict was found to affect exhaus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ping style. Whereas in female workers, family-work conflict did not directly affect exhaustion, but only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ping style. Finally,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exhaus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effect of maladaptive coping on exhaustion was higher in women.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dual-income workers’ maladaptive coping style on exhaustion.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ind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o reduce exhaustion of workers who have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