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332.jpg
KCI등재 학술저널

통근시간이 직장여성의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ting Time on Employed Women’s Marital Satisfaction

  • 114

통근은 맞벌이 여성의 삶의 질과 만족에 어떤 영향을 줄까? 한국 직장인들은 OECD 국가에서 가장 긴 시간을 통근에 사용하고 있지만, 통근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술적 분석은 적었다.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여성가족패널을 이용하여 통근시간의 증대가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1,700여 명의 기혼직장여성을 분석한 이 연구에서 통근시간과 결혼생활 만족은 역(逆) U자형의 관계를 보였다. 통근시간은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지만, 일정한 시점을 넘어 장시간 통근으로 접어들면 통근시간 증가는 결혼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킨다. 통근에 43분 정도의 시간을 사용하는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통근시간이 하루 평균 86분을 초과하면 증가하는 시간만큼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이 감소했다. 이 연구는 통근이 맞벌이 직장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패널자료를 통한 분석을 통해 학술적, 정책적 기여를 제공한다.

Korean workers spend the longest time in commuting in OECD countries, but there has been little study on the impact of commuting on life satisfaction. Using a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collected from 2007 to 2018,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mmuting time on 1,700 employed women’s marital satisfaction. I find an inverted-U shap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ting time and satisfaction with marriage. While commuting time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a dual-income woman’s marriage life, the increase in commuting time decreases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life as commuting time exceeds a certain point. Women who commute about 43 minutes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when commuting time exceeds an average of 86 minutes per day, satisfaction with marriage decreases as the commuting time increases.

I.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연구가설

Ⅲ. 연구자료 및 분석전략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