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 혁신수업 평가방법 및 수업혁신 포트폴리오 평가준거 개발

Developing the evaluation method and teaching portfolio criteria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in University

  • 707
155339.jpg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의 혁신적 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수업혁신 포트폴리오에 주목하고, 혁신수업 평가방법과 수업혁신 포트폴리 오의 평가준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혁신 포트폴리오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방안을 도출하였다. 평가방안 구축 및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A대학에 재직하는 16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를 2차례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는 CVR과 CVI 값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평가 방법과 준거들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교수 전문가 집단이 생각하는 대학 혁신수업의 평가 방법은 교육학자와 전공 전문가가 심사하는 수업혁신 포트폴리오와 수강생들의 역량 향상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혁신수업의 평가준거로는 교수자의 수업 준비도, 교육혁신 기여도, 주차별 운영의 충실성, 수업성찰 등 4개의 대영역이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 세부 평가지표 14개를 도출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수업혁신 포트폴리오의 평가준거는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혁신수업을 창출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methods and criteria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in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a Delphi survey was used. 16 university professors were selected as a expert group.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The data were validated for the CVR and CVI indices, and then finally adopted the evaluation methods and criteria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valuation methods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were teaching portfolio assessed by experts in education and each major and the competency improvement of students.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he innovational instruction were composed of four dimensions and 14 detailed indexes. Four dimensions were preparation of classes, the degree to education innovation, weekly class composition, and reflection of the clas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aching portfolio of innovational instruction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ctive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creating future university innov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