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alationship among School athletic coach’s Leadership Types, Mindset of student athletes,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3호
-
2021.021069 - 1094 (26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3.1069
- 733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540명의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2020년 6월 22일부터 9월 4일까지 비대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측치가 나타나지 않아 자료 모두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통해 분석하였 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은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 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고정 마인드셋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 드셋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의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은 운동지속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thletic coach’s leadership types and student athlete s mindset,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the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thlete s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To this end, a total of 5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ing 325 from Gwangju and Jeolla-do, 170 from Busan, Daegu and Gyeongsang-do, and 45 from other regions.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of them showed no missing values, and all of the final 540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perform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athletic coach’s leadership type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udent athlete’s growth mindset,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and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fixed mindset. Second, the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of student athlete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low. Third, the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of student athlete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adhere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thletic coach’s leadership types and student athlete s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the growth mindset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