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A Study on Three Important Ideas abou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fter the ‘Play-based Curriculum Change’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 3,002
155339.jpg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통해 강조되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연구물, 최신 이론, 현대적인 프로젝트들, 국제 교육과정 등의 문서를 심도 깊게 고찰하였으며, 세 가지 주요 쟁점인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놀이와 배움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 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자기 성찰과 문제의식, 현장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바이 다. 둘째,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중심으로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과 교사 교육자에게 실험적(experimentation) 교수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놀이하며 배우는 유능한 유아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존중, 놀이를 통한 배움의 과정과 내적 현상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교사의 페다고지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교육이 변화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ree important points relat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ight after ‘play-based curriculum change’ in 2019. We got clear ideas from reading recent theories and literatures including sever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papers, recent theories about play and learning, and play-based learning projec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attempted to explain three important ideas which can transform the current discours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irst, we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real experience of collective curriculum-making with children through self-reflection, critical awareness, and partnership with kindergartens. Secondly, teacher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ir teaching as experimentation and process so that teachers’ pedagogical role focused on agency could be revitalized. Finally, we expect the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to respect children who are capable, competent and active and listen to their intra-active learning through play.

Ⅰ. 서 론

Ⅱ. 놀이중심 교육과정 전환에 예비유아교사교육의 주요 쟁점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