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승 4무량심의 확대과정과 그 의미

The Feature of Mahāyāna Buddhism Practice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The Four Immeasurables(Catvāri Brahmavihārāḥ)

  • 105
155370.jpg

대승불교는 중생들과 함께 동승해야 하는 불보살의 당위성을 현실에서 실현한다. 대승의 4무량심은 이러한 과정 속에 있는 수행법이며, 자신의 수행력과 깨달음을 객관계에서 확대 실현하면서 대보리와 대지혜를 체득한다. 대승의 4무량심 수행법은 자·비·희·사의 4가지 초기불교의 분류체계를 뛰어넘는다. 화엄경 등 대승경전은 10종의 대(大) 4무량심과 청정(淸淨)의 4무량심 수행법을 시설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은 중생 속에서 실현하는 보살의 50종의 대비심을 기술하고, 보살의 최고의 덕목으로 대비심을 강조하고 자신만 닦는 2승(乘)의 선정을 강하게 비판한다. 10종의 덕목을 갖춘 4무량심과 50종의 대비심에서 보이는 대승 4무량심 수행법의 특징은 자리(自利)를 이타(利他)에서 완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 4무량심의 수행의 체계는 주관인 불보살과 객관인 중생의 두 측면을 하나로 합일해 가는 불이(不二)의 실천을 중시한다. 이는 4무량심 확대과정 속에 보이는‘대승’과‘자성청정심’을 의미하며, 불보살은 중생 속에서 중생은 불보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불이의 실천을 의미한다. 4무량심 중 최고의 덕목은 중생을 향한 불보살의 대비심이며, 중생이 이르러야 할 구경의 실상이자 최상의 청정 바라밀의 내용이기도 하다.

Mahāyāna Buddhism realizes its duty to always be with all living beings in real life. The four immeasurables refer to the practice of the realization of this duty of Mahāyāna Buddhism. One acquires wisdom (bodhi) through this practice, and expands and realizes one’s power to practice it. In Mahāyāna Buddhism,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s surpasses the original system of loving-kindness,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慈悲喜捨) because Mahāyāna Buddhist texts suggest ten kinds of practices of the great four immeasurables aswellas the practice of the pure four immeasurables. Further, Mahāyāna Buddhism explains 50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大悲心), which are realized for all living beings by boddhisattva, and it emphasizes the great compassion as the best virtue of boddhisattva and strongly criticizes the meditation of two small yānas (二乘), which is practiced only for oneself. Through the ten kinds of the four immeasurables and the fifty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a feature of Mahāyāna Buddhism is the thought that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利他) is the completion of the practice for oneself (自利). We may say that Mahāyāna and the pure mind (自性淸淨心) mean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and the practice for oneself. The best virtue realizing these two (自利, 利他) is the great compassion of Buddha, the real form of the world (究竟實相), and Buddha’s pāramitā to all living beings.

1. 들어가는 말

2. 화엄경과 대살차니건자소설경의 4무량심 의미

3. 4무량심의 최고의 덕목으로서의 대비심

4. 나가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