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언어의 문화투영이라는 관점에서 구비문학적 사례와 지명 분포를 통한 제정일치 시기인 단군왕검의 곰 토템과의 유연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곰 토템의 방사에 따른 변이형은 신화와 전설, 지명이나 〔고맙다〕로 대변되는 고마(熊)의 단어족과 나라 이름 백제(百濟), 나아가 조상숭배가 효행문화의 원류가 됨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고조선 시기 고마(곰) 토템과 제사장 단군의 샤머니즘이 융합된 고조선의 제의문화적인 정체성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관련하여 그 동안 식민사관이나 동북공정으로 기록과 유물유적에 대한 고려 없이 저질러진 왜곡된 역사관과 궤변을 언어문화의 관점에서 변증하고자 하였다. 곰 토템과 언어문화의 형태 및 의미의 유연성이 검증됨으로써 단군조선의 언어 문화적인 실체성과 조상숭배 문화의 개연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본론에서 고마(곰) 토템 문화 관련의 신화와 전설 및 보수성이 가장 강한 지명과 국명인 백제(百濟)와의 유연성, 나아가 조상숭배로서의 개연성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Bear Totem and Language Culture, which is the time of culturally-symbolic establishment of language. The radial form of the bear totem will be identified in the word family of Goma(bear), which is expressed by place name or gomapta(thanks), and the name of the country Baekje(百濟). Therefore, the cultural identity of Gojoseon, which is a fusion of Goma(Bear) totem and the shamanism of Dangun(壇君), will be confirmed during the Gojoseon period of Dangun. In this regard, I tried to prove distorted history and riverside that have been committed without consideration of records and relics through colonial or northeast process projected by other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emonstration of Dangun Joseon could be enhanced by revealing the cultural archetype and morphemes of the bear totem. In the main subject, the origin and conservatism of Goma(bear) totem culture are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ce name and the country Baekje(百濟).
1. 서론
2. 곰 토템과 언어문화의 투영
3. 곰 토템과 조상숭배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