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Iatrogenic Horner’s Syndrome Developing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 이승현(Seung Hyun Lee) 강성모(Sung Mo Kang)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1
- 132 - 136 (5 pages)
목적: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1세 여자가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직후 발생한 우안 눈꺼풀처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주 전 우측 갑상선암으로 우측 겨드랑이경유 로봇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았다. 눈꺼풀틈새는 정면주시에서 우안 5.0 mm, 좌안 8.0 mm였고 위눈꺼 풀테와 각막반사 사이의 거리(marginal reflex distance 1)는 우안 1.0 mm, 좌안 4.0 mm였다.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양안 모두 정상이 었다. 어두운 조명에서 우안 2.5 mm, 좌안 4.0 mm로 동공부등을 보였다. 얼굴무한증은 호소하지 않았다. 우안에 0.5% Apraclonidine 한 방울 점안 30분 후, 우안 눈꺼풀틈새는 5.0 mm에서 8.0 mm로 증가했으며 어두운 조명에서 동공 크기 또한 2.5 mm에서 4.0 mm로 증가하였다. 결론: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에서도 호너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환자에게 발생 가능성에 대해 주지 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132-136>
Purpose: We report a case of iatrogenic Horner’s syndrome developing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Case summary: A 31-year-old female with right-eye ptosis was referred to our clinic. Three weeks prior, she had undergone robot-assisted total thyroidectomy via the right transaxillary approach to treat right-side thyroid cancer. On ocular examination, the palpebral fissure widths were 5.0 mm in the right lid and 8.0 mm in the left lid, the marginal reflex distances 1, 1.0 mm in the right lid and 4.0 mm in the left lid, and the levator muscle function of both eyes normal. In a dark room, the pupil diameter was 2.5 mm in the right eye and 4.0 mm in the left eye. She did not complain of facial anhidrosis. Thirty minutes after instillation of 0.5% (w/v) apraclonidine into the right eye, the right palpebral fissure width increased from 5.0 to 8.0 mm, and the pupil size from 2.5 to 4.0 mm in the dark. Conclusions: Horner’s syndrome can develop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patients should be counselled in this regard.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132-136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