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출판의 패러다임을 바꾼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Changes the Paradigm of Publishing

  • 358
155446.jpg

2020년은 우리가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코로나 시대’를 경험했다.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코로나19가 우리 일상을 바꾸었고,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회사는 재택근무와 화상으로 모든 업무를 대체하고 있다. 점차 달라진 일상을 보면서 리터러시의 ‘글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이라는 정의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리터러시란 결국 글을 읽는 종이책에서 글을 듣는 오디오북, 그림과 글을 보며 읽는 웹툰/웹소설 모두에 있어서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뛰어난 사람은 비판적 사고와 분석적인 사고도 필요하다고 하지만, 가장 궁극적인 능력은 ‘소통하는 능력’, ‘공감하는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얼마만큼 공감하고 소통했는지에 따라 그 미디어 리터러시가 성공했는지 아닌지 결정할 수 있다.

2020 has experienced a korona era that we have never thought of. One day, Corona 19, which suddenly came to us one day, changed our daily lives, and the prolonged Corona 19, the company is replacing everything with telecommuting and burning. I want to think about Literacy s definition of ability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while looking at the gradually changed daily life. Literacy is ultimately necessary for both audio books that read from paper books, webtoons/web novels that read while looking at pictures and writings. A person with excellent media literacy is said to need critical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but I think the most ultimate ability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the ability to empathize. Depending on how much the other party sympathized and communicated, you can decide whether the media literacy was successful or not.

1.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미

2. 코로나19와 이북/오디오북 환경의 변화

3. 코로나19와 웹툰/웹소설 환경의 변화

4. 디지털 리터러시의 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