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지털시대, 독서(讀書)의 개념을 활용한 몰입콘텐츠 기획

A study on immersive contents planning using the concept of ‘Reading’ in the digital era.

  • 205
155446.jpg

디지털은 개인을 중심으로 모든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기반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반기술은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통해 구상화되면서 일상 속 소통을 풍요롭게 하고 있다. 하지만 시대별 기술을 일상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기술 중심의 사고에 빠지다 보면, 오히려 시대 기술이 제공하는 인문학적 가치를 외면하는 우를 범하게 되기도 한다. 디지털은 개방성, 확장성, 연결성의 가치를 통해 개인이 소통의 주체로서 다양한 일상의 소통을 만들어 나가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이 일상에 던지는 인문학적 화두를 고찰하다 보면, 디지털은 과거 시간과의 단절이 아닌, 신구세대의 연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직면하게 된다. 유사 이래 인류가 이어온 소통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과정으로 도식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독서는 소통의 가장 본질적인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디지털의 시대, 개인 간 커뮤니티 간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몰입과 대화의 구도를 구상화하는 과정 또한, 책을 매개로 지난 시간 우리가 이어 온 독서의 개념을 어떻게 발전적으로 승계할 수 있을 것인가의 맥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Digital provides the infrastructure technology that enables all communication around individuals, and these infrastructure technologies are envisioned through various media devices, enriching daily communica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technology into everyday life, if you are immersed in technology-oriented thinking, you may end up turning a blind eye to the humanistic values provided by technology of the times. Through the value of openness, scalability, and connectivity, digital provides infinite possibilities for individuals to create various daily communication as the main agents of communication. When considering the humanities of digital life, one faces the fact that digital can find its mean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old generation, not in the disconnect from the past. Communication that mankind has continued since the past can be schematized as a process of accept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in this context, reading becomes the most essential concept of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age, the process of framing the structure of immersion and dialogue to activate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will also be acceptable in the context of how we can progressively succeed the concept of reading that we have continued over the past time through the medium of books.

1. 머리말

2. 시대별 미디어와 독서의 의미

3. 디지털시대 몰입콘텐츠

4. 독서의 개념을 활용한 몰입콘텐츠 기획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