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al Treatment on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n Rice Variety Germplasm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Statistical Treatment on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n Rice Variety Germplasm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 한국자원식물학회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2018.0431 - 31 (1 pages)
- 이용수 0
키워드
초록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는 백합과(Liliaceae) 둥굴레속(Polygonatum)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다. 둥굴레속의 근경은 점액질이 풍부하고 전분질,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등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품학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새순과 여린줄기는 식약청 식품원재료서비스에 등록된 식용가능 식물자원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층층둥굴레는 경기도 황학산수목원에서 2년, 5년생과 종자를 분양받아 종자는 기내에서 발아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야생의 개체를 무균적으로 기내도입하기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0~1.5%까지 달리하여 멸균한 결과, 유의적 차이는 없으나 1~1.5%처리가 비오염율이 20% 내외로 조사되었다. 층층둥굴레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옥신류 호르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멸균된 근경을 절단하고 옥신류 호르몬의 종류와 농도가 각각 다르게 처리된 MS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한 결과, 2,4-D 0.5mg/L 처리구에서 캘러스 유도율이 87%로 가장 높게 조사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층층둥굴레의 기내배양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모본과 동일한 층층둥굴레의 대량생산 체계를 만들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더불어 관련 산업계의 소재다양화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9)
- 강원지역 희귀·특산식물 5종의 개화결실 특성
- 한반도 특산식물 물들메나무 분포와 적색목록 평가 적용 가능성
-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가는잎가시상추, 좀전동싸리, 나도뿔이삭풀
- 봉화군 문수산의 식물상
- 함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및 현존식생
-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물자원 활용
- 한국의 관속식물 전통지식에 대한 민속식물학적 연구
-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from Lespedeza cuneata on Aldose Reductase
- Investigation of Novel Pharmacological Action of Arctii Fructus and its Compound
- The Panax ginseng Flowering Locus T Shows Age Specific Expression Pattern in Ginseng and Increases Root Length in Transgenic Arabidopsis
- Anti-inflammatory Metabolites of Agrimonia pilosa Ledeb. and Their Mechanism
- 백두대간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
-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 연구결과 및 운영 방향
-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of Ginseng by Nanoparticles
- A Study on Transcriptome Analysis Using de novo RNA-sequencing to Compare Ginseng Roots Cultivated in Different Environments
-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A Versatile Web-based Database for Dissecting Flora Investigations
- 국내 유통 주요 사과 품종 왜성대목 및 접수의 바이러스 검정
- 매봉 지역(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고사리 종근 파종량에 따른 신초 수량성 및 뿌리 전분 특성
- 동부 DMZ 일원 관속식물 유용자원 현황
-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유전자원의 꽃 크기 및 꽃잎 특성
- 실고사리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
- Schisandrae Fructus: A Potential Candidate Functional Food Against Muscle Atrophy and Osteoarthritis Prevention
-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Dumortiera hirsuta
- 2,4-D처리가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영향
- Development of Chloroplast Microsatellite Markers for Invasive Carduus (Asteraceae) between East Asia and North America
- Complete Genome Sequences of Crepidiastrum denticulatum (Asteraceae)
- 메밀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재배시기별 생육특성 비교
- 충청북도 일대 산림습원의 관속식물
- 토마토 과형판별을 위한 OVATE 유전자 유래 분자표지 개발
- 액체배양 방법을 이용한 멸종위기종 복주머니란 종자 무균발아 및 증식
- 국내 미기록종 통조화(Stachyurus praecox) 자생지 최초 발견
- 좀우드풀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한 번식조건
- 터리풀속(Filipendula)의 분자계통학적연구
- Statistical Treatment on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n Rice Variety Germplasm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 응달고사리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
- Optimization of Regeneration Condition Unde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in in vitro Cultured Korean Soybean
- 응봉 일대(강원도 화천군)의 관속식물상
-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유전자원의 만개기 특성 - 예산지역 이식의 현지외보전 식물자원 -
- B16/F10 흑색 종 세포에서 오디(Morus alba)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과 항산화 활성
- 식물공장내 상추 '피델'의 생육 촉진을 위한 최적 AMG 농도 구명
-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of the Aerial Parts and the Roots of Buckwheat
-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곰취 '다목이'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Antioxidant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Apoptosis in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
-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 Fruits Extracts Mediated Synthesis of Zinc Oxide Nanoparticles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Catalytic Activity for Degradation of Industrial Dye
- 준고랭지역 재배 적정 산채류 선발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ochiae Fructus Extract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아로니아 기능성 증대를 위한 전통 젓갈 유래 유용발효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방안 연구
- 미역(Undaria pinnatifida)귀의 일반성분, 유리당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
-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ion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Callus Derived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Analyses of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Columbia Coffee Bean in Roasting Process
- In vitro Anti-obesity Effect of 4-hydroxybenzyl Alcohol from Cudrania tricuspidata
-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막걸리의 발효기간 및 겨우살이 함량 차이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 Invitro and Virtual Screening of Bioactive Molecule from Mycelium of Trichoderma atroviride Inhibit the UDP-3-O-(R-3-hydroxymyristoyl)-N-acetylglucosamine Deacetylases (LpxC) for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
- 식물공장내 상추 '피델'의 생육 촉진을 위한 최적 AMG 농도 구명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beliophyllum distichurn Flower Extract
- Effect of Gibberellin Acid on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Dicentra spectabilis (L.) Lem. Seeds
- 매실나무(Prunus mume)를 기주로 한 인공재배 겨우살이의 일반성분분석
-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활성 탐색
- Fruit Mediated Synthesis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Using Lycium chinense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 Ethnobotanical Studies of Gangwon-do: A Comprehensive Research of the Province and Data Analysis
- Silica Nanoparticles Suppress the Root Rot of Panax ginseg from Ilyonectria mors-panacis Infection by Reducing Sugar Efflux into Apoplast
-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Extrudate Solid Formul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Prepared by Hot Melt Extrusion Process
- 복분자 기능성 증대를 위한 유용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공정 도입 방안 연구
- 구절초와 발효 옻나무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활성
-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활성
- Anti-adipogenic Effect of Chlorogenic Acid in 3T3-L1 Adipocytes
-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막걸리의 제조 및 항산화활성
- 억새(Miscanthus spp.) 식물재료와 배지 첨가물질이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
- Dendropanax morbifera and Rubus coreanus Miq. Extracts Inhibits the Formation of Uric Acid Crystal by Reducing Xanthine Oxidase Activity
- 중국(中國) 홍경천(紅景天)(Rhodiola saccharinensis)의 뿌리와 잎의 항산화 활성과 홍경천(紅景天) 요구르트의 특성
- 중국(中國) 유품종(柚品種)(Citrus spp.)의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의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 효과(效果)
- 약용작물 추출물을 첨가한 다진양념의 비만 억제 효과
- 중국(中國) 동충하초(冬蟲夏草)(Cordyceps militaris)의 항균(抗菌), 항산화(抗酸化), 항암활성(抗癌活性)
- 감초의 주성분인 glycyrrhizin을 대사하는 사람 장내세균의 특성 연구
- Solanum nigrum L. Extract Inhibits Inflamm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and BV2 Cells
- 물 고추냉이 순환식 베드 재배 연구 I. 베드조건의 차이에 따른 물 고추냉이의 생장량 차이
- Cyanidin 3 - rutinoside chloride (CRC) Regulate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PMACI-stimulated HMC-1 Cells
- 산야초 발효추출물과 허브 정유가 보리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 유용 발효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공정을 활용한 산초열매의 기능성 증대 방안 연구
-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Korean Endermic Species,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 추출 조건을 달리한 오미자 유래 적색소의 항비만 효과
- Development of EST-SSR Markers for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L.) Gaertn.)
- 한국의 민속약용식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어성초, 금잔화 추출물의 모유두세포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발모효과
- Biological Activities and the Metabolite Analysis of Camptotheca acuminata Dence.
- 아이비, 란타나, 예루살렘체리 추출물의 생물적 방제 효과
- 미역귀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효과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nciri Fructus Extracts on Raw 264.7 Cells
-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군락분류 및 임분특성
- Changes of Germination Rate of Pulses Seed Germplasm after Long-term Conservation
- 중국 흑구기자(黑枸杞子)(Lycium ruthenicum)와 구기자(枸杞子)(L. chinense)의 항산화 활성효과
- 두메우드풀 포자체 형성을 위한 번식방법
- Phenolic Compounds Production, Enhancement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of Blue Berry Powder with Bacillus subtilis Light Mediated Fermentation Compounds
- 노니(Morinda citrifolia L.) 부정근의 효능평가와 지표물질 탐색
-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in Combination of Tartary Buckwheat and Bean Flour Mixes by Hot Melt Extrus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