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의 수익률, 변동성 및 거래량의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 of Returns, Volatility, and volume in the KOSPI200 Spot and Futures Market
- 김태혁(Taehyuk Kim) 정대성(Daesung Ju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3 No.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2
- 353 - 367 (15 pages)
본 연구에서는 Diebold, Yilmaz(2012)의 변동성전이지수를 사용하여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간의 정보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KOSPI200지수의 수익률, 변동성, 거래량, 거래대금 및 KOSPI200선물지수의 수익률, 변동성, 거래량변화, 거래대금, 미결제약정수량을 사용하 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간에 정보전이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유출전이효과는 선물거래량변화, 선물거래대금변화, 현물거래대금변화, 현물수익률, 선물수익률, 선물변동성, 현물변동성, 현물거래량변화, 선물미결제약정수량변화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유입전이효과는 선물거래량변화, 선물거래대금변화, 현물변동성, 현물거래대금변화, 선물변동성, 현물거래량변화, 현물수익률, 선물수익률, 선물미결제약정수량 변화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넷째, 양(+)의 순전이효과를 보인 현물수익률, 선물수익률, 선물거래 량변화, 선물거래대금변화 및 현물거래대금변화는 정보발신자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의 순전이효과를 보인 선물변동성, 선물미결제약정수량, 현물변동성 및 현물거래량은 정보수신자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금융시장 간의 연결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참가자들에게 투기거래 및 차익거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포트폴리오 관리자에게는 포트폴리오 재구성과 관련하여 비중조정 및 시기 등을 좀 더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해주며, 금융당국에게는 시장안정화제도 개발 및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KOSPI200 spot market and the KOSPI200 futures market using the volatility spillover index of Diebold and Yilmaz (2012).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ind that there are an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KOSPI200 spot market and the KOSPI200 futures market. Second, I find that the spillover inflow effects are large in the order of changes in futures trading volume, futures trading volume, spot trading volume, spot return, futures return, futures volatility, spot volatility, spot trading volume change, and futures outstanding contract volume change. Third, I find that the spillover inflow effects are large in the order of changes in futures trading volume, futures trading value, spot volatility, spot trading price change, futures volatility, spot trading volume change, spot return, futures return, and futures pending contract volume change. Fourth, I find that the net spillover effects of spot return, futures return, futures trading volume, futures trading amount, and spot trading amount are positive, which mean that the variables act as information providers in the financial system. On the other hand, I find that the net spillover effects of futures volatility, futures open interest, volatility and trading volume have negative, which means that the variables served as a recipient of information dependent on other variables. And also I confirm the consistency of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ving sample and the sub-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identifying financial market-leading variables,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portfolio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and providing financial market connectivity from a new perspective.
1. 서론
2. 연구모형 및 연구자료
3. 실증분석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