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2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계 재정구조가 보험 과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 on Insurance Over-consumption

DOI : 10.37727/jkdas.2021.23.1.317
  • 99

본 연구는 가계의 소득대비 지출의 적정성 유지를 위해 위험대비지표인 보험료지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보험 과소비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보험 과소비 기준은 12%로 가처분소득과 월 보험료(저축성보험, 연금보험, 자동차보험 제외)를 활용한 위험대 비지표이다.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구통계 변수, 재정 변수, 생활패턴 변수, 보험 관련 변수인 19개 변수들을 고려하였다. 로지스틱회귀모형에 의해 선택된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변수는 소득, 의료비, 보험 가입 건수이며 통제변수는 규칙적인 운동이다. 보험 과소비는 연소득 3천만원-5천만원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 5분위 중 3분위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으로 다수 가계의 보험 과소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의료비 지출이 많을수록 보험 과소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의료비와 보험료의 이중지출로 저축 여력이 감소하면 가계 재정구조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보험 가입 건수가 많을수록 보험 과소비는 더욱 높아지며 보험 한 건이 증가할 때 오즈는 1.06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변수들은 보험 과소비 모형에는 모두 포함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위험대비지표에 근거한 적정한 보험료 지출은 건강한 가계 재정구조를 만드는 또 다른 리스크 관리이다.

The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the criteria for insurance premium spending, a risk-based indicator in order to check whether insurance is over-spending or not, and to maintain the appropriateness of household expenditure relative to income. The criterion for over-consumption of insurance presented in this study is 12%, which is a risk ratio index using disposable income and monthly insurance premiums excluding savings insurance, pension insurance, auto insurance. As factors that can affect insurance over-consumption, 19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inancial, life pattern, and insurance were considered. The key variables that influence over-consumption of insurance select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re income, medical expenses, and the number of insurance subscriptions when regular exercise is used as a control variable. Insurance over-consumption was higher in the range of 30 million to 50 million won in annual income. In addition, the higher the medical expenditure, the higher the insurance over-consumption, so if the savings capacity decreases due to the double spending of medical expenses and insurance premiums, the financial structure of households may deteriorate. Appropriate premium spending based on risk ratio indicators is another risk management that creates a healthy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론

4. 실증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