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2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인성요인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haracter Factors on the Communication Skill among Nursing Students

  • 8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성수준과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성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도 6월 C지역 소재 2개 대학의 간호학과 1, 2학년 2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성수준은 3.95점으로 학년, 나이, 편입여부, 간호학과 입학 동기와 선택이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3.61점으로 학년, 나이, 편입여부, 간호학 선택이유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인성의 8개 요인과 의사소통능력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성 요인은 도덕적 인식(β=.189, p=.008), 역량과 의지(β=.172, p=.018), 긍정적 자기이해(β=.170, p=.010), 책임감(β=.144, p=.049)의순으로 나타났고, 총 설명력은 39.7%이었다. 따라서 인성과 의사소통능력이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성 요인들을 강화한 인성교육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져야 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aracter factors on the communication skill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238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character was 3.95 and communication skill was 3.61.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character factor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indicates that ethical perception(β=.189, p=.008), competency and volition(β=.172, p=.018), positive self-understanding(β=.170, p=.010) and responsibility(β =.144, p=.049) predict 39.7% in communication skill. Thus,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enhance character factors that affect communication skill so that character and communication skill can be improved together.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