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2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운전자에 대한 선택반응 반복훈련 효과

The Effect of Repetitive Training of Choice Response for Older Drivers

  • 24

본 연구는 손 반응과 발 반응을 구분한 선택반응 과제에 대한 반복훈련이 고령운전자들의 반응시간과 반응정확성에서 어떠한 양상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날을 달리한 5회의 훈련회기에 걸쳐 손 반응이 요구되는 2개 자극과 발 반응이 요구되는 2개 자극을 무선적으로 제시한 후 고령운전자들이 5회의 훈련회기에 걸쳐 보인 자극 선택반응에서의 반응속도, 반응정확성, 반응시간 변산성 및 오반응 유형별 빈도에서의 변화를 종속치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실험참가자들은 훈련회기의 진행에 따라, 그리고 발 반응보다는 손 반응에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더 작은 반응시간 변산성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손 반응의 경우 훈련회기의 진행에 따라 반응시간과 반응시간 변산성이 점진적 으로 감소한 반면, 발 반응의 경우는 특정 훈련회기까지 급속한 감소를 보인 후 더 이상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발 선택 오반응은 손 선택 오반응에 비해 세 배 정도 빈도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훈련회기가 진행되어도 수행에서의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운전 자에 대한 반복적 선택반응 훈련이 반응의 속도와 정확성에서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브레이크와 액셀러레이터를 서로 혼동하여 잘못 선택하는 등의 특정 오반응은 반복적 훈련에 의해서도 향상되기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petitive training for choice response task changes response time and accuracy of elderly drivers. Two stimuli requiring a hand-response and 2 stimuli requiring a foot-reaction were presented over 5 training sessions. Response speed, response accuracy, reaction time variability, and frequency of error types were analyzed as dependent value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howed faster, more accurate, and less variability in reaction time with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session and in hand-response than foot-response. Second, hand-response resulted in gradually decreased reaction time and variability of reaction time as the training session progressed, whereas in the case of foot-response, after a rapid decrease until a specific training session, there was no further improvement. Third, in the foot-selection condition, the frequency of false reactions was higher than in the hand-selection condition, and no improvement was observed in performance even after the training session progres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repetitive choice response training for elderly drivers results in an overall improvement in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reaction, certain response error, such as confusing brake and accelerators with each other, may be difficult to be improved even by repeated training.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반응정확률

5. 오반응 유형

6.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