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기존연구가 다양성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으나 일관된 결론을 도출 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다양성 연구가 분석단위, 이론적 개념, 메커니즘 등에서 복잡다기 하여 하나의 통일된 이론으로 통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구성원 다양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리뷰 논문으로서 세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구성원 다양성이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크게 사회정체성 다양성에 기반한 사회적 범주화 과정과 정보 다양성에 기반한 정보 상세화 과정이라는 두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지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다양성이팀 성과에 갖는 영향에 대해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을 아우르는 보다 통합적인 시각을 제안한다. 특히 선행연구에 기반한 간이 실험을 통해 인지 다양성의 팀 성과에 대한 효과가 팀 구성원의 동일성과 팀 내부의 사회연결망 조밀성에 의해 제약받을 수있다는 것을 보인다. 셋째, 최근 융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경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전략수립과 경쟁력 제고에 기업 구성원의 인지 다양성 증대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논문은 기업혁신에 있어 구성원들의 개별 인지패턴의 독립적 반영의 중요성을 성별 다양성, 연령 다양성, 교육적 배경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구성원들의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 다양성을 대하는 조직 문화와 리더쉽의 역할 등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국내의 다양성 관련 실증 연구 결과를 개관하고 인지 다양성에 기반한 국내 기업 혁신전략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경영자와 정책담당자에게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pite the long-standing research tradition of examining the effect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has failed to achieve a consensus on the topic. One of the many reasons for the impasse is the inherent complexity of diversity research in terms of theoretical constructs, units of analysis, and underlying mechanism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ield along two diversity dimensions—social categorical diversity and categorization process vs. information diversity and elaboration process. The paper extends this review by introducing cognitive diversity, defined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omprised of the cognitive repertoires of team members based on individ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the team attempts to solve. The article synthesizes social categorical and cognitive diversity dimensions by considering how the effect of cognitive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ategorical diversity of the team members and the cohesive network ties within the team. It also discuss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spectives towards diversity and the significance of leadership in diversity management. Diversity thus is proposed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by assisting the innovation process. Diversity management as a future research agenda for Korean companies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ognitive diversity as a source of corporate innovation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다양성과 조직성과-이론적 개념, 분석단위, 주요 메커니즘
Ⅲ. 인지 다양성
Ⅳ.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
Ⅴ. 국내 관련연구와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