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26.jpg
KCI등재 학술저널

Generalized vs. Dyadic Reciprocity: How Will My Knowledge Hiding Affect My Creativity in a Work Team?

Generalized vs. Dyadic Reciprocity: How Will My Knowledge Hiding Affect My Creativity in a Work Team?

DOI : 10.26856/kjom.2021.29.1.113
  • 327

지식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필수 자원인 만큼 조직들은 지식 공유를 장려하고 지식 은폐를 의도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지식 은폐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지식 은폐의 선행 요인을 정의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지식 은폐가 지식 은폐자의 창의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확실하다면, 지식 은폐자는 능동적으로 지식 은폐 행위를 절제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식 은폐가 타인의 효혜성 지식 은폐로 인해 개인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팀 내 갈등 관계가 이 매개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는 지식 은폐 효혜성을 일대일 대등 관계에서만 설명하였는데, 실제 작업팀에서 발생하는 지식 은폐 효혜성은 일대 다의 복잡한 관계에서 이루어지기에 재조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인 미국 내 1,002명의 온라인 실험자를 대상으로 일대 다의 관계에 있는 작업팀에서 개인의 지식 은폐가 일대 일의 관계보다 더 약한 지식 은폐 효혜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 연구인 국내 47명의 팀 리더와 156명의 팀 멤버를 대상으로한 현장 설문조사에서는 지식 은폐 효혜성은 일대 다에서도 개인의 지식은폐와 창의성간 관계에 핵심적인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기존에 존재하는 팀 내 상호작용 관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팀 구성원이 상호연결 되어있을 경우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과업 및 관계 갈등이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 은폐와 창의성 문헌에 이론적 기여를 어떻게 하는지, 또한 팀 리더들에 대해 실무적 기여를 어떻게 하는 지를 논의하였다.

As knowledge is an essential resource for creativity, organizations are keen to reduce intentional knowledge hiding among team members.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defining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hiding in order to reduce knowledge hiding. However, if a focal member’s knowledge hiding significantly impedes his/her creativity, then that member could proactively restrain him/herself from hiding knowledg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a focal member’s knowledge hiding on creativity via other team member knowledge hiding reciprocation and examines how task/relationship conflicts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While previous research examined reciprocity in dyadic relationships, this study examines reciprocity in work teams with one-to-many relationships, which we call generalized reciprocity. Two studies were conducted. Study 1 was an online experiment with 1,002 participants in the US and Study 2 was a field survey with 156 members from 47 team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reciprocity in one-to-many relationships reveals much more complexity. In a controlled environment (Study 1), knowledge hiding had a less significant effect on generalized reciprocation than in dyadic reciprocation because the target of the knowledge hiding and the effect of the violation were less clear. However, in actual intact work teams (Study 2), reciproc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because of the influence of ongoing, previous interaction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a common experience where team members are interconnected,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knowledge hiding and creativity literature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m leaders are discussed.

Ⅰ. Introduction

Ⅱ. Conceptual Framework and Hypotheses

Ⅲ. Study 1: Experimental Study

Ⅳ. Study 2: Field Investigation

Ⅴ. General Discussion

References

<Appendix>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