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owerment Effects on Creative Behaviors in a Multiple Project Team Membership Context: An Individual-level Analysis
Empowerment Effects on Creative Behaviors in a Multiple Project Team Membership Context: An Individual-level Analysis
- 한국인사조직학회
- 인사조직연구
- 인사조직연구 제29권 제1호
- : KCI등재
- 2021.02
- 25 - 57 (33 pages)
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임파워먼트나 창의적 행동과 같은 이슈들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나아가서, 요즘은 MTM(Multiple Team Membership) 현상이 보편화되어 한 구성원이 하나의 팀에만 소속되지 않고 동시에 여러 프로젝트 팀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산업 불문하고 MTM의 증가는 눈에 띄지만, 특히 지식 근로자들의 경우에는 더욱 두드러진다. MTM은, 한 구성원이 동시에 여러 팀에 관여하는 상황인데, 각 팀은 각각의 리더가 관리하기 때문에 한 팀원은 동시에 여러 명의 리더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임파워먼트 관련 논의들은 한 명의 리더를 전제로 하고 있어서 같이 MTM으로 변화된 현상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MTM에서는 팀의 활동 목표, 고객, 활동 시기 등에 있어서도 차이가 많아서 상황이 복잡할 수 있다. 여러 개의 팀에 관영한다는 것은 업무 과다, 시간 결핍, 역할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Simon의 논의에서 시작된 관심이론(Attention-based view)는 이러한 현상에 가장 적절한 이론적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이론은 업무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관심의 초점과 분산이 그들 행동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관심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MTM 상황에서 팀원들이 인지하는 대표 리더의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MTM의 여러 특성들이 이러한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 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회과학분야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에서 7월 중에 서베이를 실시하였고총 423명을 대상으로 MPlus를 활용하여 경로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대표 리더의 임파워먼트 인지는 창의적 행동에 의미있는 효과를 보이는데, 그 과정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MTM 요소들 중에서는 역할 갈등이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시간배분인지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부분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리더십 논의와 관심 이론을 병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Leader empowerment and employee creativity are critical sources of organiz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today’s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 Accordingly, these issues have been widely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but have not been considered within a multiple team membership (MTM) context. MTM has grown rapidly, and is now a popular form of management practice, especially in knowledge-intensive jobs that require employees to undertake complex, uncertain, and non-routine projects. MTM represents simultaneous affiliations with several project teams, indicating exposure to several leaders, colleagues, roles, and atmospheres. Thus, leadership effects may vary along with the dynamics created by MTM contexts. In the present research, we relied upon the attention-based view as the overarching theory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research agenda with a sample of 423 professional researchers. Using the Mplus 7.4 statistics package, we found results supporting our assertion that the mediation processes of the focal leader’s empowerment leads to creative employee behaviors via their perception of creative self-efficacy. Among the MTM factors, role conflicts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focal leader’s empowerment on creative self-efficacy, while the positive moderation effect of time alloca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TM context in understanding empowerment and creativ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re included.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es Development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