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48.jpg
KCI등재 학술저널

활동적 노화의 관점에서 본 장기요양시설의 돌봄 유형 분석

Analysis of Care Typ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the View of Active Ageing

  • 388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적용하여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돌봄 유형에 관한 다양한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WHO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건강, 안전, 참여 세 영역에서 장기요양시설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조사에는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거주 노인의 성인자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 서비스 제공자, 장기요양 전문가 등 35명이 참여하였다. 451개의 Q모집단 중 63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최종 자료분석에는 43개의 P표본 자료가 활용되었다.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4개 유형)가 적합하며 이는 전체 변량의 30.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장기요양시설의 돌봄은 보호 중심 돌봄(1유형), 참여 중심 돌봄(2유형), 의료연계 중심 돌봄(3유형), 인간 중심 돌봄(4유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시설에서 돌봄의 질적 변화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are typ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 the view of Active Ageing by using Q-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rasp various thoughts on ca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ree areas of WHO s active aging: health, safety, and participation. 35 peopl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including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dult children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service providers, and long-term care professionals. Of the 451 Q populations, 63 Q samples were extracted, and a total of 43 P sampl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nd as a result, three factor structures (4 types) were found to be suitable and accounted for 30.15% of the total variance. Current care typ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analysed into 4 types: protection-oriented care (type 1), participation-oriented care (type 2), medical-connected care (type 3), and human-centered care (type 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qualitative change of 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