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성 건강에 근거한 노인 성 건강 특성과 영향요인
The Sexual Health for the Elderly in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Based on the WHO Sexual Health
- 유지혜(JiHye Ryu) 강창현(ChangHyun Kang)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1권 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2
- 69 - 83 (15 pages)
본 연구는 WHO 성 건강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성 건강을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성 건강의 통합으로 보고, 영역별 특성과 영향요인의 파악에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성 건강은 성별, 학력별, 지역별 차이가 크고,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사회적 성 건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도시지역, 고학력, 남성 노인들은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농촌 지역, 저학력, 여성 노인들은 사회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난다.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정신적 성 건강은 성생활 만족도와 성 지식에서, 신체적 성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배우자 만족도에서, 감정적 성 건강은 이성 교제, 배우자 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성 지식에서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 건강은 배우자 만족도와 이성 교제에서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노년의 통합적 성 건강은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쳐 성공적 노화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성생활과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성 건강교육이 필요하다. 누적된 삶의 궤적으로 나타나는 ‘성’은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올바른 성 건강 인식과 성교육이 수반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 건강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강화하는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반영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each area by considering the gender health of the elderly as the integration of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gender health based on the WHO gender health. The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regio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mental, physical, emotional sexual health and social sexual health. The 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those with high education and male is high, but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s, those with low education, and female are high in social sexual health. The factors affecting sexual health are as follows. Ment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atisfaction of sexual life and sexual knowledge. Physic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life and spous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xual relationship, spouse satisfaction, sexual life satisfaction and sexual knowledge. Social sexual health has a negative (-) effect on spouse satisfaction and sexual relationships. Integrated sexual health in old age can affect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leading to successful aging. Sexu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form a safe and healthy sexua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ex’ that appears as a cumulative trajectory of life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accurate sexual health awareness and sex education that encompasses all generations. Therefore, in the composition of sex health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omponents that can enhance the sensitivity of adulthood to strengthe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spous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