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550.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전협정 체결시 참전 16개국 대제재선언 의도와 한계

Intentions and limitations of declaring greater sanctions of 16 nation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concerning the Armistice Agreement

DOI : 10.33127/kdps.2021.42.2.187
  • 133

본고는 미국이 전후 한반도 안전보장을 위해 한반도 유사시 한미상호방위조 약과 함께 공산 측이 전투행위를 재개하여 참전 15개국과 함께 유엔의 원칙에 재차 도전하면 단결하여 신속히 대항한다는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에 관한 공동정책선언에 대한 연구다. 이 선언을 주도한 미국의 정책적 의도와 성과를 고찰하기 위해 역사적 배경과 서명국의 역할 등을 북한의 도발이 극심했던 1970년대까지 검토했다. 공동선언 당시에는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이중적인 효과를 기대했지만, 1950 년대 중립국감독위원회 축소, 정전협정 13항 ㄹ목 폐기 및 주한미군 현대화 지지 등에 그쳤다. 이는 유엔군사령부 내에서 군사적 참여나 지원에 이르지 않고 일종의 집단적 도덕적 의무 성격을 지닌 공동선언 자체의 한계이기도 했고,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비중이 컸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국은 참전 16개국의 공동선언을 통해 유엔군사령부 내에서 군사적 참여를 계속하도록 하는 것을 추구했지만 특히 1966년 터키 여단 철수 후, 유엔군사령 부는 미군과 한국군 외에 연락단, 군정위원회 자문, 의장대 수준에 그쳤다. 참전 16개국 공동선언의 활용에 대해, 미국의 정책에서 가장 큰 특징은 북한이 도발했을 때 전쟁시기와 비슷하게 미 국무부와 합참이 주도했다. 특히 푸에블로호사건, EC-121기 격추, 판문점 도끼만행 등은 미군과 직접 연계되어 참전국의 공동선언이 아니라 그만큼 미군의 역할이 커지게 되었다. 이제 공산 측이 도발을 재개하려 할 때, 참전 16개국 선언의 고수 보다 우호적인 국가들의 지원을 얻는 데 참전국으로 제한하지 않는 방식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This paper seeks to study the intentions of 16 countries’ joint policy declaration concerning the Armistice Agreement that the United States will unite and quickly fight back if the communist side resumes renewal of the armed attack to challenge the principles of the United Nations together with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o ensure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war.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ole of signatories were reviewed until the 1970s, when North Korea’s provocations were severe in order to examine the policy inten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US. At the time of the joint declaration, it was expected to have a dual effect with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but in the 1950s, it was limited to the reduction of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the abolition of paragraph 13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support for the modernization of US forces in Korea. It was a limita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itself, which did not reach military participation or support within the UN Command. It was a kind of collective moral obligation, and the weight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as large. The United States sought to continue military participation within the UN Command through the joint declaration of 16 participating nations, but especially after the withdrawal of the Turkish Brigade in 1966, the UN Command was limited to the level of liaisons, advisors to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and the honor guard in addition to the US and ROK forces. Regarding the role of the Joint Declaration,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US policy was led by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e Joint Chief Staff, similar to the time of the war. In particular, the Pueblo incident, the shotdown of the EC-121, and the Panmunjom ax murder incident were directly linked to the U.S. military, and the role of the U.S. military became larger, not a joint declaration of the participating nations. When the communist side tries to resume the provocation again, it must also actively seek a way not to limit it to the participating countries in obtaining support from countries that are more friendly than adherence to the declaration of 16 countries in the war.

Ⅰ. 문제제기

Ⅱ. 참전 16개국 공동선언 배경과 경과

Ⅲ. 정전 후 참전 16개국 공동선언의 영향과 유엔군사령부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