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초기 국군이 수행한 한강선방어작전을 대상으로 ‘전투의 구성요 소’를 기준으로 ‘군사적 관점’으로 한정하여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한다음 이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11가지 요소 중에서 비교적 주요 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① 전기(戰機) 활용, ② 지형지물, ③ 비대칭전력, ④ 전투공간, ⑤ 무장열세, ⑥ 지휘통제가 식별되었다. 이중에서 특히 ‘전기 활용’ 과 ‘지형지물’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기 활용’을 포함한 2가지 주요 요소와 비교적 많은 영향을 미친 ‘비 대칭전력’ 등 4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호 보완하거나 상승작용 또는 역장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가지 요소는 보완 및 상승작용이 역작용보다 비교적 많았고, 역작용을 한 것도 결정적으로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이 심각하게 상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e author conduc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operation for Han river defense line” which was conducted by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at the early stages of Korean war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combat’ and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The author concludes that 6 elements out of 11 : (1) application of Battlefield opportunities, (2) topographical and terrestrial features, (3) asymmetric power, (4) place and space of Battle, (5) inferiority of armament, (6) command and control, have predominant importance. In particular, application of Battlefield opportunities and topographical and terrestrial features have more importance among them. The author also examines whether those 6 elements are complementary or reciprocally inhibiting and concludes that they have tendency to be complementary. Even in some cases where they suppress each other’s influences , mutual inhibition is not that dominant never to have dominancy over being complementary.
Ⅰ. 서 론
Ⅱ. 전투의 구성요소 및 한강선방어작전 개관
Ⅲ. 전투의 구성요소측면에서 분석
Ⅳ. 결론(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