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교육의 동영상 관찰학습 활용 효과
Effects of Applying Video Observation Learning in Simulation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4호
-
2021.0277 - 92 (16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4.77
- 867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사전브리핑 단계에서 동일한 시나리오 구현에 관한 동영상 관찰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수행자신감, 학습자신감 및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사전ㆍ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 광역시 Y 대학 간호학과 3학년 재학 중 수술 전ㆍ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는 학생으로 실험군 87명, 대조군 95명으로 총 182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동영상 관찰학습을 하기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습몰입, 수행자신감 및 학습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 관찰학습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전에 비하여 학습몰입, 수행자신감 및 학습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실험군의 수행자신감과 학습자신감 향상 정도가 유의하게 대조군보다 높았다. 중재 후 실험군의 수행자신감, 학습자신감 및 디브리핑 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학습몰입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사전브리핑 단계의 동영상 관찰학습 활용은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 학습자신감 및 디브리핑 만족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pplying video observation learn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ame scenario in the pre debriefing phase of simulation education on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performance confidence, debrief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re were 87 and 95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 total of 182 students received pre and post operative care training. Data analysis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pre-post differences of learning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better learning confide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debriefing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learning flow was not. Therefore, video observation learning in the pre debriefing phase of simulation educ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learning confidence, performance confidence, debrief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