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포항 지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공간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stimation of the Spatial Impact of the Pohang Earthquake on Regional Economies: Development of the SCGE Model

  • 269
155684.jpg

본 논문은 공간연산일반균형(SCGE) 모형 개발을 통해 포항 지진 발생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모형은 지역 수준의 생산과 소비 모듈로 구성되며, 시·군 단위의 교통 수요 모형과 연계된다. 지진의 공간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진발생 후 도로망의 붕괴로 증가한 시간비용에 의한 지역내총생산(GRP)의 변화로 측정한다. 세 가지 대안 분석에는 지진발생으로 인한 생산역량(자본스톡), 통행시간비용 변화의 외부충격을 이용한다, 분석 결과, 포항지진 발생으로 국내총생산(GDP) 0.58% 감소, 직접영향권 중 대구 남부 GRP 3.69% 감소, 간접영향권 중 수도권 GRP 0.64% 감소 등 지진 발생지역 이외 타지역, 국내 전역에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도로망 붕괴로 인한 간접적 영향에 비해 생산시설 피해의 직접적인 영향에 보다 크게 의존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effects of the Pohang earthquake on regional economies by developing a spatial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SCGE) model. The model is composed of regional modul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is linked with a transport demand model at the city and county levels. The effects are measured using changes in the gross regional product (GRP) derived from increases in travel time costs from the collapse of road networks by an earthquake. Three scenario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in terms of external shocks to changes in production capacities (capital stocks) and travel time costs. Counter-factual experiments show that the earthquake in Pohang may have led to economic losses in other regions besides the area in which the earthquake occurred. Results showed a decline in gross domestic product by 0.58%, GRP by 3.69% for southern Daegu in zones directly influenced by the earthquake, and 0.64% for capital regions in zones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earthquake. These negative outcomes on the economies depended on much more direct damage to production facilities rather than indirect damage such as the collapse of road networks after an earthquak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