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685.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에서 보건·의료·복지분야 다직종연계교육(IPE)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IPE) in the Fields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in Universities

  • 218

세계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보건·의료·복지 분야의 복합적 문제 접근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대상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학교육의 현장에서도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다직종연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다직종연계교육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념과 발전과정을 정리하며, 다직종연계교육의 주요 이론 및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외국과 우리나라 대학의 다직종연계교육 실태와 경험에 따른 실행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진일보된 새로운 다직종연계교육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직종연계교육이 단순 기존의 교육과정이나 학습방법의 일탈이 아닌 다양한 직종 간의 협업을 통한 상황적 지식증진과 수행능력의 향상에 있음을 확인한다. 이와 같은 전문분야 간의 학습을 통한 상생적 대학교육 모델은 학생뿐만 아니라 현장 전문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복지 전문가들이 가져야 할 다직종연계 역량 개발과 대학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As the country enters an aging society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eligible for services that require complex access to problems in various fields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an enhance accessibility to problem-solving through collaboration of experts from various professions, is also required at the site of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at has been advanced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organizing concepts and development processes around them, investigating the main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esenting implementation model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experienc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t foreign and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i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eeks to improve its situational knowledge and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professions, not just a deviation from existing curriculum or learning methods. The win-win university education model through learning among these professional fields is an exploratory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multi-task-linked competencies and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health, medical, and welfare experts should hav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개념정의

Ⅳ. 대학의 다직종연계교육의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