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뷰티 유튜브 콘텐츠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youTube Contents

  • 898
155795.jpg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 유튜브는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현재 유튜브의 영향력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튜브의 폭발적인 성장은 교육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아직까지 유튜브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유튜브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유튜브의 핵심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뷰티 콘텐츠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뷰티 콘텐츠가 어떠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지와 어떠한 특징으로, 어떠한 콘텐츠에서 만족을 얻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여, 비대면 교육을 지향하는 요즘, 뷰티 콘텐츠 개발 및 교육 영상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뷰티 콘텐츠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검색되는 키워드는 ‘메이크업’ 총 4,881건과 ‘헤어’ 총 2,479건으로 조사 되었다. 유튜브의 뷰티 채널을 조사한 결과 메이크업 관련 채널은 482건, 헤어 관련 채널은 373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뷰티 유튜브 관련 선행연구는 행동 관련 변수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뷰티 콘텐츠 이용자와 콘텐츠 특성을 세분화해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 이용되길 바라며, 뷰티 콘텐츠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rona 19, the YouTube is playing huge roles in daily life of modern people. No matter if this phenomenon is positive or negative, currently, the influence of YouTube is indescribably growing. Even though the explosive growth of YouTube has huge influences on the educational world,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related to YouTube in Korea. Recently, there are some researches related to YouTube in various areas, an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beauty contents rising as a core issue of YouTub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contents and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videos in the untact education era, by verifying the types of beauty contents,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with high satisfaction.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keywords that were the most searched in relation to beauty contents were ‘makeup(total 4881 cases)’ and ‘hair(total 2479 cases)’. In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beauty channels of YouTube, there were 482 channels related to makeup and 373 channels related to hair. So far,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beauty YouTube have focused on behaviorrelated variables while this study sub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users and contents. As th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play huge roles in the additional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cont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